“동남아~유럽 경유 마약수송 급증”…국가정보원, ‘물건운반’ 제안 주의 경고
한국인이 해외 마약조직에 속아 동남아에서 유럽으로 마약을 운반하다 적발되는 사건이 급증하면서 국가정보원이 강력한 경고에 나섰다. 물건 운반 아르바이트를 빌미로 한 일명 ‘물건전달’ 제안이 빈발하며, 피해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가정보원은 1일 “올해 들어 태국과 베트남 등에서 영국 등 유럽 지역으로 마약을 밀반입한 혐의로 검거된 한국인은 14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국정원에 따르면 이들 14명은 총 410㎏이 넘는 마약을 운반했다. 현지 공항 세관과 수사기관에 의해 적발 시 즉각 사법처리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피해 형태는 대부분 해외에서 온라인으로 ‘운송 아르바이트’나 ‘물건 전달’을 제안받아, 항공권과 숙박비 등 실비 제공을 조건으로 이뤄졌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박모(44) 씨 사례에서는 태국에 머무는 베트남인 여성에게 가방과 담배 운반을 의뢰받아, 태국에서 영국으로 이동했다. 그러나 영국 세관은 박씨의 가방에서 대마를 발견해, 박씨는 마약 밀반입 협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국정원은 동남아 마약 조직이 한국인 여행객을 위장 운반에 활용하는 이유로, 한국인의 동남아와 유럽 간 출입국 절차가 비교적 용이한 점을 들었다. 조직은 온라인을 통해 소셜미디어·채팅 앱 등으로 접근, 운송 경험 없는 일반인을 타깃 삼아 접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같은 사기 수법은 최근 여행객 증가, 온라인 해외 취업 미끼 등과 맞물려 빠르게 퍼지고 있다. 국정원 관계자는 “온라인에서 알게 된 사람이 해외 출국을 요구하는 경우 각별히 경계해야 하며, 설령 속았더라도 현지 국가에서 사법처리는 피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일체의 물건·화물 운반 요청을 받을 경우 반드시 거절해야 한다고 재차 당부했다.
정치권에서는 해외 마약조직의 신종 범죄에 정부 차원의 대응 강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국내 출입국 관리 시스템 연계, 관련 범죄 정보의 조기 공유 등 실효적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향후 정부는 국제 공조 및 국내외 예방 캠페인 추진을 함께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