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차 간소화, 승인 신호?”…미국 SEC, 리플 XRP ETF 상장 기대감 확산
현지시각 기준 9월 30일, 미국(USA)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리플(XRP)을 비롯한 주요 암호화폐 ETF 발행자들에게 기존 19b-4 제출을 철회하라고 지시했다. 이번 조치는 암호화폐 ETF 상장이 새로운 일반 기준에 따라 이루어지면서, 상장 절차가 한층 간소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SEC 결정은 미국 내 디지털 자산 투자상품 시장에 직접적인 변화를 예고하며, 투자자들과 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SEC가 각 ETF 발행자들에게 전달한 철회 지시는 기존 상장 절차의 복잡함을 극복하기 위한 규정 개정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이전에는 거래소 별로 ETF별 19b-4 서류를 제출하고 규정 개정 및 공개 심사 과정을 거쳐야 했다. 이번에 SEC가 승인한 ‘일반 상장 기준’은 규제된 선물 시장 등 사전 조건을 충족할 경우 별도의 개별 제출 없이 상장이 가능해, 판매자가 기존에 내놓은 서류는 필요 없게 됐다. 이에 대해 SEC는 거부가 아닌 표준화된 상장 절차로의 이행을 강조하고 있다.

암호화폐 업계와 시장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번 변화가 ETF 승인을 둘러싼 규제 명확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인 긍정적 신호라는 평가가 나온다. 비트코인닷컴뉴스는 “SEC가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에 일관된 진입 규칙을 마련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리플(XRP)과 같은 주요 암호화폐 ETF가 승인 절차 간소화의 혜택을 빠르게 볼 것이란 기대가 커진다.
다만, 일부 신중론도 제기된다. 시장 내에서는 단순한 행정절차 간소화에 불과하다는 지적과 함께, SEC가 특정 종목에 본질적으로 우호적인 태도를 공식화한 것은 아니라는 해설도 적지 않다. 여전히 규제 리스크와 시장 변동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된다는 평가다. 미국 내 규제 환경이 암호화폐 시장의 실질적인 안정 성장에 얼마나 기여할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국제업계와 주요 외신도 변화의 방향성에 주목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디지털 자산 투자상품 접근성 제고가 세계 자본 시장의 경쟁 구도를 바꿀 수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향후 SEC의 결정에 따른 첫 상장 사례, 특히 XRP ETF의 조기 승인 여부가 시장 전반에 중요한 신호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상장 성과와 규제기관의 지속적 관리, 시장의 수용도가 앞으로 디지털 자산 ETF의 장기적 성공을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국제사회는 이번 SEC 조치가 디지털 자산 투자 질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