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학력제 논란 확산”…대한체육회, 학생선수 부담 해소→정책 대개혁 시동
장대하게 내리는 빗속, 운동장과 교실을 오가는 학생선수들의 시선에는 깊은 고민과 부담이 엿보였다. 학업과 훈련 모두에서 뛰어야 하는 현실 앞에, 학생선수들은 제도의 변화를 바랐다. 5월부터 6월까지 이어진 설문조사에서 4천192명의 학생선수와 학부모, 지도자 중 상당수가 최저학력제의 폐지나 실질적인 개선을 외쳤다. 초등학생 61.5%, 중학생 81.7%, 고등학생 84.5%가 같은 목소리였다.
대한체육회는 학교 현장에서 불거진 이 갈증에 응답하고, 학생선수 지원 정책 전반을 새롭게 손질하기로 했다. 현행 규정이 학생선수의 진로 선택과 경기력 향상에 발목을 잡고 있다는 비판이 쏟아진 결과다. 특히 2012년 도입 이후 13년간 이어진 최저학력제가 훈련 시수 부족, 대회 참가 기회 축소, 조기 이탈 등 여러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정책 개혁의 대상은 최저학력제, 출석 인정 결석 허용 일수, 합숙훈련 제한, 고교학점제, 맞춤형 교육 과정 등 다섯 가지로 압축됐다. 최근 경기대 산학협력단의 연구용역에서는 최저학력제 단계 축소와 조건부 폐지, 더욱 유연한 제도 운용 방안이 제안됐다. 획일적인 성적 기준이 학생선수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고 있다는 지적이었다. 연구진은 각 학교의 현실, 종목 특성, 지역 차이까지 반영한 융통성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더불어, 고등학생의 출석 인정 결석 허용 일수는 80일, 중학생은 60일, 초등학생은 40일까지 확대하는 안도 구체적으로 제시됐다. 합숙훈련 역시 종목이나 상황에 따라 조건부로 허용되는 변화가 요구됐다. 고교학점제 역시 학생선수의 특성에 한발 더 다가선 적용 방식이 검토된다.
현실 개선의 목소리를 구체적 정책에 녹이기 위해, 대한체육회는 학교체육위원회 등 실무 부서와 의견을 맞추고 있다. 앞으로 구체적인 로드맵은 설문조사와 연구 결과, 현장 의견을 반영해 입법과 정부 건의 과제 등 단계별로 추진될 계획이다.
대한체육회 관계자는 정책 방향에 대해 “현행 제도가 현장 목소리를 충분히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며, “전문가 견해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생선수 지원 실효성을 한층 높이는 개선 로드맵을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촉촉이 젖은 트레이닝복과 교과서를 한 손에 쥔 학생들의 모습은, 변화를 바라는 현장의 절실함을 보여준다. 학생선수들의 소리가 정책으로 이어지는 과정은 시청자에게 조용한 울림을 전한다. 대한체육회가 그리는 정책 변화의 지도는 앞으로 스포츠와 교육을 모두 품은 청사진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