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한미협상 진전 있다”…여한구, 워싱턴 총력 외교전 강조

강민혁 기자
입력

한미 통상 협상을 둘러싼 긴장감 속에 산업통상자원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 워싱턴에서 협상 진전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15일(현지시간), 여 본부장은 로스앤젤레스를 경유해 워싱턴 인근 로널드레이건 공항에 도착한 직후, “한미간 협상에서 진전이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방미에는 여한구 본부장을 비롯한 정부 유관 부처 수장들이 동시에 출국해 협상에 총력을 기울인 것으로 전해졌다.

 

여한구 본부장은 도착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국익에 가장 부합한 결과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인위적으로 협상시한을 설정하기보다는, 내용과 실질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총출동해 최선을 다해보자고 하는 분위기가 형성돼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협상에서 실리와 성과 중심의 접근 전략을 명확히 한 셈이다.

앞서 한미 양국은 7월 30일 관세협상에서 미국의 대(對)한국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고, 한국이 총 3천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시행한다는 내용에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대미 투자 이행 방안을 놓고 양측이 의견차를 보이며, 추가 협상 필요성과 업계 우려가 이어졌다.

 

정부의 이 같은 행보는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기조 및 한미 FTA 재협상 가능성과도 맞닿아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실무진과 정책 라인이 동시에 현지에 파견된 상황에서 실질적인 합의 도출을 위한 막판 조율에 착수했다. 다만, 추가협상에 따라 시장 불확실성이 당분간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시된다.

 

정치권은 한국 투자와 고용 창출 효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두고 엇갈린 해석을 내놓았다. 더불어민주당은 “산업 기반 약화”를 우려하며 신중한 입장을 밝혔고, 국민의힘은 “한미 협력이 한국 미래성장 기반을 다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업계, 전문가들 역시 “투자안 이행 시 국내 산업 구조 변화가 불가피하다”며 신중론과 기대감이 교차하고 있다.

 

정부는 이번주 워싱턴 협상 결과를 토대로, 추가 이견 조율과 국내 산업 및 투자계와의 소통을 이어갈 예정이다. 정치권과 산업계는 실질적 합의 여부가 한미 통상 관계, 국내 경기 전망에 미칠 파장을 주시하고 있다.

강민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여한구#한미협상#산업통상자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