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모범감옥 엄기준, 쇠사슬 흔든 노래”…광복의 기록자→영원한 염원 남기다
엔터

“모범감옥 엄기준, 쇠사슬 흔든 노래”…광복의 기록자→영원한 염원 남기다

윤찬우 기자
입력

한가로운 새벽, 쇠사슬 소리가 노래가 돼 감옥 벽을 깨운 순간, 배우 엄기준이 그 현장 한가운데에서 이야기를 이끌었다. 뮤지컬 다큐멘터리 ‘모범감옥’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잊힌 서대문형무소의 시간을 가로지르며, 노래와 기록으로 그날의 염원들을 조명했다. 인물들이 아니다. 그 시절, 이름조차 지워졌던 이들의 애절한 바람이 배우들의 목소리와 시선 속에 다시 태어났다.

 

무대의 시작을 알린 넘버 ‘그곳에 조선인이 있었다’에서는 숨죽인 감옥마저 거대한 합창장이 돼버린 듯, 쇠고랑과 타벽이 리듬이 되고, 어둠 속 한줄기 희망을 노래하는 이들의 목소리가 공간을 가득 채웠다. 어깨를 기대어 걸으며 두드렸던 ‘타벽통보법’ 장면에서는 안창호, 김정련이 옥중에서도 서로를 느끼기 위한 절박한 손짓과 간절한 마음을 배우들이 치열하게 연기해 관객의 숨결까지 멈추게 했다. 어떤 순간도 피하지 않고, 좁은 눕방 안에서도 광복의 염원을 놓지 않았던 이들의 삶이 한 곡, 한 포즈 위에 스며들었다.

쇠고랑 소리의 회고…‘모범감옥’ 엄기준, 옥중의 기록자→광복의 염원 담다
쇠고랑 소리의 회고…‘모범감옥’ 엄기준, 옥중의 기록자→광복의 염원 담다

엄기준은 감옥이라는 공간의 시점이 돼, 프리젠터로서 그날의 이야기를 애틋하게 담아냈다. 그는 “옥중 만세운동 뒤 서로의 벽을 두드리던 독립운동가들의 갈망이 결코 잊히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며, 진혼의 마음으로 광복 80주년의 의미를 되새겼다. 함께한 서범석, 하도권, 고훈정, 신창주, 송영미, 김찬종 등 다양한 뮤지컬 배우들은 각자의 캐릭터를 넘어 실제 ‘우리’의 역사 한가운데에서 고통과 희망을 오롯이 노래했다. 송영미는 유관순의 외침 아래 번지는 만세의 떨림을, 하도권은 김구의 무게 있는 신념을 깊은 목소리로 전달했다. 김찬종 역시 시대의 그림자를 짊어진 채 결연함을 노래에 실었다.

 

출연진 모두는 짧지 않은 시간 직접 체험한 촬영 과정에서 실제 고통과 긴장, 그리고 잊지 말아야 할 지난날의 아픔까지 온몸으로 느꼈음을 고백했다. 한 배우는 “촬영이 끝난 뒤 몸 곳곳에 남은 멍과 자국을 보며 과거의 시간을 한 번 더 되짚었다”고 전했다.

 

이처럼 ‘모범감옥’은 뮤지컬 넘버와 다큐멘터리의 결합을 통해 한 공간, 한 시대, 그리고 수많은 무명을 현재로 불러낸다. 이제 어디에도 남지 않은 이름들을 다시 세우며, 그 기록은 노래와 춤 너머, 팽팽한 울림으로 시청자 가슴에 깊은 여운을 남길 것으로 기대된다.  

 

‘모범감옥’은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며, 8월 16일과 23일 각각 오후 8시 40분, 2부작에 걸쳐 시청자 곁을 찾는다.

윤찬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엄기준#모범감옥#광복80주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