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통일부 명칭서 ‘통일’ 삭제 매우 부적절”…김천식, 통일 의지 약화 우려
정치

“통일부 명칭서 ‘통일’ 삭제 매우 부적절”…김천식, 통일 의지 약화 우려

신도현 기자
입력

통일부 명칭 변경을 둘러싸고 정치적 논란이 커지고 있다. 김천식 통일연구원장은 7월 16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통일정책포럼 인사말을 통해 “통일부에서 통일을 삭제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한 일”이라며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 통일부 명칭에서 ‘통일’이라는 단어를 제거하는 방안이 일부에서 제기된 가운데, 정책 방향과 국가정체성 논란까지 불거지는 모양새다.

 

김천식 원장은 “통일부는 우리 민족의 통일 의지와 통일의 권리를 국가기구로서 표상하고 있다”며 “통일이라는 이름이 없어졌을 때 국가정체성과 대외적 메시지에 미칠 악영향은 매우 클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통일을 포기한 것으로 이해하게 될 것”이라며, “평화를 위해 통일을 지우고 북의 ‘두 개 국가’ 체제를 받아들이자는 것은 한반도 평화와 긴장의 본질을 도외시한 황당한 주장”이라고 주장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평화와 안정을 구축한 토대 위에서 통일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에 통일부 명칭 변경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혀, 해당 이슈를 두고 입장차가 더욱 분명해졌다. 앞서 북한은 2023년 말 남북관계를 ‘적대적인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하고, ‘통일’ 추구를 공식적으로 중단한 바 있다. 이 같은 북한의 움직임 이후, 통일부도 대화 파트너로서 명칭 조정 요구에 부딪혀온 상황이다.

 

정치권에서는 김천식 원장의 발언을 놓고 논쟁이 확산되는 양상이다. 여권 일각에서는 통일 의지를 명확히 표명해야 한다는 지적과 함께, “국가정체성 유지와 대북 정책 일관성 차원에서 명칭 유지는 필수”라는 반론이 제기됐다. 반면 일부 야권 관계자와 전문가들은 “현실적인 남북관계를 반영해 국정운영의 유연성을 도모해야 한다”며 명칭 변경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김 원장은 이명박 정부 당시 통일부 차관을 역임했으며, 2023년 7월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 국책연구기관 통일연구원장에 임명된 바 있다. 한편 정동영 후보자는 신임 통일부 장관으로 지명된 뒤 대북정책의 유연화와 평화정책 강화 메시지를 강조해 왔다.

 

통일부 명칭을 둘러싼 논의는 남북관계의 변화, 대외 메시지, 그리고 통일정책의 방향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정부와 정치권 모두 통일부 명칭 논의를 둘러싼 사회적 논의와 여론을 충분히 수렴해 신중한 결정을 내릴 방침이다.

신도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천식#통일부#정동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