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커피 한 잔이 변비 위험 줄인다”…고령층 효과 확인에 주목
IT/바이오

“커피 한 잔이 변비 위험 줄인다”…고령층 효과 확인에 주목

조민석 기자
입력

카페인 섭취가 만성 변비 위험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는 임상 연구 결과가 주목받고 있다. 최근 중국 시위안병원 연구진이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NHANES) 2005~2010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매일 커피 한 잔 수준(100㎎)의 카페인을 섭취한 성인에서 만성 변비 발생 위험이 약 18~20%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분석은 국제학술지 ‘다학제보건저널’을 통해 공개됐으며, 고령층에서 특히 뚜렷한 효과가 보고된 점이 학계의 관심을 모은다.

 

연구팀은 NHANES에 포함된 성인 1만 2759명의 식이정보 및 배변 이상 증상을 통계적으로 비교, 카페인이 실제로 장의 연동운동(Peristalsis)을 촉진하며 배변활동을 개선하는 것으로 판단했다. 커피뿐 아니라 에너지음료, 차, 탄산음료, 초콜릿 등 다양한 식품 내 카페인을 통합해 분석했다는 점에서 실생활 적용 가능성을 넓혔다는 평가다. 기존의 일부 임상에선 카페인이 장내 수분 조절 및 근육 수축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대규모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정량화해 효과 크기를 제시한 연구로 의미가 크다.

특히 일일 카페인 섭취가 100㎎을 넘길 때 변비 예방 효과가 경험적으로 확인됐으며, 204㎎ 이상의 고카페인 섭취 그룹에선 오히려 변비 위험이 높아지는 경향도 관찰됐다. 이는 과잉 카페인 섭취 시 이뇨작용이 활성화돼 체내 탈수, 장내 수분 부족으로 변비가 악화될 수 있다는 메커니즘에 근거한다. 다만 60세 이상 고령자에서는 고카페인 섭취군마저 변비 위험이 일부 감소해, 나이별-개인별 대사차가 중요한 변수로 제시된다.

 

업계 전문가들은 “카페인을 활용한 만성 변비 비약물 관리 전략이 임상 현장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고 평가하면서도, 심혈관질환 등 카페인 민감도가 높은 환자군에선 섭취 주의를 강조한다. 글로벌 의료현장에선 이미 카페인이 포함된 OTC(일반의약품)나 식이 전략이 일부 도입되고 있지만, 연령·질환 특이성을 고려한 국내 임상 근거 확보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번 연구는 커피와 카페인 함유식품이 단순 기호식품을 넘어, 고령화 사회의 질환 부담 경감에도 일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산업계는 이번 연구 결과가 실제 의료 및 건강관리 시장으로 확장될지 주시하고 있다.

조민석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시위안병원#만성변비#카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