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AI 스타게이트로 韓 도약”…오픈AI, 삼성·SK와 글로벌 인프라 구축 시동

오승현 기자
입력

오픈AI가 한국 정부와 주요 기업들과 손잡고 AI 3대 강국(G3) 도약을 위한 전방위 협력에 나섰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방한 일정에서 이재명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을 잇따라 만나며 글로벌 AI 인프라 구축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가동에 본격 속도를 내고 있다. 업계는 이번 협업을 ‘AI G3 경쟁의 변곡점’으로 주목하고 있다.

 

이번 협업의 핵심은 오픈AI가 차세대 AI 데이터센터 ‘스타게이트’ 구상에 삼성과 SK 등 한국의 반도체·IT 역량을 집결시킨다는 데 있다. 이날 오픈AI와 삼성전자·삼성SDS·삼성물산·삼성중공업 4개사는 글로벌 AI 데이터 인프라 구축에 관한 협력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삼성전자는 이 프로젝트의 초고성능·저전력 DDR, HBM 등 메모리 공급을 책임진다. 오픈AI가 요구한 웨이퍼 기준 월 90만매 규모의 메모리와 시스템 반도체, 첨단 패키징 솔루션 제공을 통해 대규모 AI 연산 요구를 뒷받침할 전략이다. 삼성SDS는 데이터센터 설계 및 운영, 삼성물산·삼성중공업은 해상 부유형 AI 데이터센터 개발에 협력한다.

SK그룹도 SK하이닉스 고대역폭메모리(HBM), SK텔레콤 AI 데이터센터를 묶은 공급 파트너십을 맺었다. SK하이닉스는 월 90만장에 달하는 HBM 생산 역량을 확보할 방침이며, SKT는 오픈AI 전용 데이터센터 구축 협업도 시작했다. 오픈AI 요청 물량은 글로벌 생산 역량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한국의 반도체 제조력에 대한 신뢰가 바탕이 됐다.

 

기술적으로는 초대규모 AI 모델 학습·추론을 위해 초고용량·고대역폭 메모리, 저전력 고성능 데이터센터 등이 필수적이다. 특히 삼성은 메모리부터 시스템 반도체, 패키징까지 아우르는 풀스택 솔루션, SK하이닉스는 세계적인 HBM 기반을 보유해 글로벌 AI 연산 경쟁의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기존 데이터센터 대비 효율, 안정성, 확장성이 크게 높아진다는 점도 이번 협력의 강점으로 꼽힌다.

 

AI 인프라 수요는 챗GPT 등 생성형 AI 부상과 함께 폭증하고 있다. 한국은 아시아태평양 내 챗GPT 유료 이용자 1위, API 개발자 상위 10위권, 영상 생성 AI 서비스 이용 1위 도시 등으로 실사용 기반이 빠르게 확대 중이다. 오픈AI와의 이번 공급망 협력은 데이터센터·반도체·클라우드 등 밸류체인을 촘촘하게 묶어, AI 산업에서 한국 위치를 대폭 끌어올릴 것이라는 평가다.

 

정부 차원의 지원도 빠르게 이어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오픈AI가 맺은 MOU에는 AI 생태계 지역균형 발전, 공공부문 AI 전환, 인재·스타트업 지원 등 국가차원의 AI 대전환 동력이 포함됐다. 서울대 등 대학과의 AI 연구 협력, 카카오 등 국내 IT 플랫폼과의 AI 접점 확대 역시 산업-학계-정부 연동 전략의 일환이다.

 

글로벌 AI 인프라 경쟁에서 미국·중국·유럽 등도 전력 질주 중이다. 미국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등은 자체 AI 슈퍼컴퓨터, 클라우드 연산망을 확대하고 있으며, 엔비디아 등 반도체 기업과 함께 데이터센터 투자도 확대 중이다. 한국은 이번 오픈AI 동맹으로 반도체-클라우드-생태계 융합력을 강화하며 기존 대비 한 발 앞선 글로벌 허브 경쟁력을 확보하게 됐다.

 

전문가들은 “초거대 AI 시대에는 국가 차원의 인프라·연산력·데이터 주권이 핵심 경쟁력이 된다”며, “한국이 오픈AI 등 글로벌 선도 기업과 풀스택 파트너십을 쌓는 것은 아시아태평양 AI 시황 주도권을 강화하는 중대 계기”로 바라봤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 협력이 실제 데이터센터·수출·고용창출 등 실질적 효과로 이어질지 주시하고 있다. 기술, 정책, 산업생태계 삼박자가 맞물릴 때 한국이 AI G3 무대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오승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오픈ai#삼성전자#sk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