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태 개혁안 둘러싼 격랑”…국민의힘, 내홍 속 계파 충돌→차기 지도부 논쟁 분출
국민의힘이 대선 패배의 충격에서 채 벗어나지 못한 채,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이 내놓은 개혁안에 당내 갈등이 고조됐다. 숙연한 회의의 공기 속에서 김 위원장이 제안한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와 ‘대선후보 교체 관련 당무감사’ 등이 정가에 깊은 파문을 일으켰다. 하루 전 의원총회는 명확한 해답이나 방향성 없이 끝을 맺었고, 당원과 국민의 불안 속에 또 다시 뜨거운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가 잇따른다.
지도체제 전환을 위한 전당대회를 조기 개최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당내에서 점차 힘을 얻고 있지만, 전대를 누가 주도할 것인지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의 임기 유지 여부와 개혁 추진 방식에는 여전히 답이 엇갈린다. 박수민 원내대변인은 국회에서 “전대를 빨리 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던 반면, 개혁안 처리 방식은 더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계파 간 역학에 따라 일부는 김 위원장이 개혁의 주체가 되기에 부적합하다고 비판하고, 다른 일각에서는 그의 임기 연장과 개혁의지를 지지하는 목소리도 커진다. 실제로 김대식 의원은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는 전례가 없고 당내 반대가 대세”라고 선언하며, 당무감사안에 대해서도 부정적 입장을 분명히 했다. 반면, 송석준 의원 등 친한동훈계와 김소희 의원은 “잘못된 현실에 책임을 묻는 점검이 필요하다”며 김용태 위원장의 메시지에 힘을 실었다.

당내 한 핵심 관계자는 “개혁 의지는 전원이 공유하지만, 방식과 주체 논쟁이 개혁 좌초로 비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지도부는 패배 책임을 지고 사퇴해야 한다는 주장도 여전하다. 반면, 김 위원장이 국민 눈높이에 맞춰 메시지를 냈던 만큼 개혁의 흐름을 이어가야 한다는 의견 또한 만만치 않다. 계파 간 충돌은 더욱 노골화되고 있다. 정성국 의원은 “계파를 넘어 친윤계의 잘못을 바로잡는 혁신이 핵심”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앞으로 국민의힘은 이르면 11일 의원총회를 다시 소집해 쇄신방안과 지도체제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다만 각계 의견이 엇갈리면서 단기 결론보다는 16일 신임 원내대표 선출 이후 새 원내지도부가 중심이 돼 ‘교통정리’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국민의 목소리와 내부 변화 요구가 치열하게 맞물린 한가운데서, 국민의힘의 다음 행보에 정치권과 민심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