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통계 조작 주장에 전격 경질”…트럼프, 미국 노동통계국장 해임 논란과 파장
국제

“통계 조작 주장에 전격 경질”…트럼프, 미국 노동통계국장 해임 논란과 파장

전서연 기자
입력

현지시각 2일, 미국(USA)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고용통계 조작 의혹을 언급하며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통계국장 해임을 전격 단행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 고용통계의 신뢰성과 통계 기관의 독립성을 둘러싼 논란을 촉발하며 정치권과 경제계, 그리고 국제사회에도 적지 않은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미국 비농업 일자리 증가 폭이 7만3000개에 그친 고용통계 발표에 대해 맥엔타퍼 국장에 책임을 돌렸다. 그는 “맥엔타퍼가 바이든 행정부 시절 임명됐고,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승리 가능성을 높이려 통계를 조작했다”고 주장하며 해임 사유로 내세웠다. 현지 시각으로 같은 날, 백악관은 즉각 인사조치를 발표했다.

트럼프 / 연합뉴스
트럼프 / 연합뉴스

이 같은 조치에 대해 전문가들은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전 노동통계국장 윌리엄 비치는 “근거 없는 경질로, 통계기관 독립성에 심각한 손상을 입혔다”고 뉴욕타임스(NYT)에 밝혔다. 경제학자 마이클 스트레인도 워싱턴포스트(WP) 인터뷰에서 “정확하고 중립적인 통계는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신뢰의 기반”이라며 “정권이 통계를 정치화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평가했다.

 

이번 고용통계 하향 조정 배경에는 지방 교육 분야 일자리의 최신 자료 반영 등 구조적 요인이 있었다는 분석도 잇따라 나온다. 전문가들은 “수치 조정은 일상적인 통계 보정 절차의 일부”라고 설명한다.

 

정치권에서는 거센 공방이 이어진다. 민주당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전쟁에 따른 고용 부진을 숨기려는 것”이라며 정면으로 반발하고 있다. 통계의 신뢰성과 독립성, 그리고 경제 정책 투명성 문제까지 맞물리면서 논란은 확산 양상이다.

 

뉴욕타임스는 “이번 해임이 정부 통계의 국제적 신뢰를 위협하는 전환점”이라고 평가했다. CNN과 워싱턴포스트 등 주요 외신도 “정권 변경 때마다 반복되는 ‘통계 흔들기’의 우려가 현실화됐다”고 보도했다.

 

향후 미국(USA) 내 경제 지표 신뢰에 대한 대내외 비관론이 확산될 경우, 기업 투자 환경과 국제 금융시장에도 여파가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안이 행정부의 통계기관에 대한 인사권 행사 범위와 통계 독립성의 기준을 둘러싼 논쟁으로 이어질 전망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이번 발표의 실질적 이행과 그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전서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트럼프#맥엔타퍼#고용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