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네이버·SKT·업스테이지 선두 → K-AI 글로벌 도약 신호탄
IT/바이오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네이버·SKT·업스테이지 선두 → K-AI 글로벌 도약 신호탄

김소연 기자
입력

국가 주도의 독자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가 본격화된다. 네이버, SK텔레콤, 업스테이지, 엔씨 AI, LG경영개발원 AI연구원 등 5개 기업 컨소시엄이 ‘K-AI 기업’ 타이틀을 달고 정부의 집중 지원 속에 글로벌 수준의 차세대 AI 경쟁에 돌입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4일 발표한 이번 프로젝트는 6개월 이내 출시된 글로벌 최신 AI 모델 대비 95% 이상의 성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업계는 정예팀들과 이들의 파트너 기업·기관 명단, 정부 지원 내역이 발표되면서 AI 주권 경쟁의 분기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선정된 5개 정예팀은 엄격한 기술력·경험·전략·파급력 평가 과정을 거쳤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주요 대학(서울대, KAIST, 포스텍, 고려대, 한양대)과 함께 옴니(Omni) 파운데이션 모델, 즉 텍스트·음성·이미지·비디오 등 멀티모달 데이터를 통합 적용해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국가 공통 AI지능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업스테이지 중심 컨소시엄은 래블업, 플리토, 뷰노 등과 협력, 세계 프런티어급 독자 AI와 국내생태계 지속성, 기술 주권 확보에 초점을 맞췄다. SK텔레콤은 크래프톤, 서울대, KAIST 등과 함께 차세대 트랜스포머(Transformer) 기반 모델로 국민 AI 접근성과 글로벌 리더십을 동시에 노린다. NC AI팀은 국내 4대 대학 및 포스코DX, NHN 등과 최대 200B(파라미터)급 대규모 언어·멀티모달 모델 패키지 개발을 추진한다. LG경영개발원 AI연구원팀은 LG그룹 및 한글과컴퓨터, 뤼튼테크놀로지스 등과 함께 세계 최고 경쟁력을 표방했다.

이번 사업은 기존 언어모델을 뛰어넘어 멀티모달, 독자 아키텍처 등 첨단기술 확장성과 오픈소스 정책이 강점이다. 프롬 스크래치(From Scratch) 개발 관점에서 데이터·GPU·인재 등 주요 자원에 대한 정부의 직접지원이 매칭된다. 올해 9월부터 공공 데이터와 전문서적·시험문제 데이터 등 100억원 규모 공동구매 데이터가 각 팀에 제공되며, 특화 데이터셋 구축을 위한 별도 28억원씩도 팀별 지원된다. GPU 역시 팀별로 올해 B200 512장, H100 1024장 등 최신 성능 자원을 협의해 배분한다. 인재유치 지원은 해외 AI 연구자를 겨냥해 업스테이지팀에 우선 매칭된다.

 

5개 팀 모두 오픈소스화 방침과 더불어, 상업적 활용 등 민간 AI 확산 정책도 내놨다. SK텔레콤, 네이버클라우드는 GPU 임차 공급사 역할로 올해 직접지원 대상 제외됐으나, 내년 하반기부터 지원이 재개될 예정이다. 단계 평가를 통해 5개 팀 중 최고 4개 팀까지 연말 압축, 국민·전문가 콘테스트 등 입체 평가도 도입된다.

 

AI 산업에서 글로벌 파운데이션 모델 경쟁은 이미 미국 오픈AI, 구글, 중국 바이두 등 빅테크가 선도 중이다. 국내 K-AI 프로젝트가 자체 기술개발과 자원 내재화로 주권형 AI 경쟁력에 도전장을 내민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동시에 데이터 가공 및 공개, GPU 투입, 인재유치, 윤리적 상용화, 규제 준수 등 종합적 생태계 구축이 요구되는 대형 국가 프로젝트로 꼽힌다.

 

정부는 사업비 심의 후 6월 내 협약을 맺고, 국민 AI 접근성과 산업 전반의 AI 대전환(AX)을 앞당긴다는 구상이다. 전문가들은 연내 1차 상용 모델 출시와 글로벌·국내 벤치마크를 함께 치르는 구조에 주목한다. “국내 AI 경쟁력 강화, 기술 자체 내재화 등 소버린 AI 논의에 마중물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산업계는 이번 K-AI 1기 정예팀의 실제 시장 안착 여부와 한국형 AI 생태계 확장 흐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김소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네이버#sk텔레콤#업스테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