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진행성 자궁경부암 치료 패러다임 전환”…국립암센터, 다중오믹스 분석 성공
IT/바이오

“진행성 자궁경부암 치료 패러다임 전환”…국립암센터, 다중오믹스 분석 성공

한지성 기자
입력

방사선 치료에 효과가 없는 진행성 자궁경부암 환자들에게 맞춤형 정밀의료 기반 치료 전략이 제시되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방사선치료 저항성을 보이는 환자의 분자생물학적 특징을 처음으로 다중오믹스(유전체, 전사체, 단백체) 데이터로 밝혀내며, 맞춤형 신약 개발과 환자 예측 치료가 가속될 전망이다. 업계는 이번 연구가 자궁경부암 정밀의료 생태계 전환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주목하고 있다.

 

국립암센터 김주영 박사 연구팀은 31일, 방사선치료를 받은 국소 진행성 자궁경부암 환자에 대해 유전체와 전사체, 단백체를 통합 분석해 자궁경부암의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6개 분류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치료 예후가 좋은 3개, 불량 예후가 3개로 나뉘며 각 환자군의 생물학적 특징과 예후 관련 바이오마커가 새로 발굴됐다. 특히 자궁경부암 내에서도 편평세포암 환자 중 방사선 저항성이 강한 사례에서, 암세포 자체보다 종양 미세환경(섬유화·면역억제 상태)이 치료 실패의 주요 원인임이 임상 데이터로 확인됐다.

다중오믹스(multli-omics) 기술은 유전자, RNA, 단백질 등 생체정보를 동시에 분석해 암 등 난치성 질환의 세부 특성을 정밀하게 캐낸다. 이번 연구는 첨단 단백체 분석 기법과 최신 유전체 랩 기술을 통합 적용해, 기존 단순 유전체 분석 방식 대비 환자별 치료 타깃을 최대 6개 세부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게 했다. 그간 자궁경부암 분야에서는 분자생물학적 프로파일 부족으로 신약 개발과 맞춤의료 구현이 한계였으나, 단백체-유전체 일괄 데이터 제공으로 타깃 바이오마커 신약 개발이 현실화되고 있다는 평가다.

 

실제 이번 분석 결과, 기존 예후가 좋은 것으로 알려진 편평세포암에서도 방사선 저항성이 높은 별도 환자군과 그 핵심 원인이 구체적으로 도출됐다. 연구진은 종양미세환경의 섬유화와 면역억제 관련 바이오마커를 중심으로 치료저항 환자의 신규 병용치료 또는 면역 억제환경 표적 신약 후속 개발 필요성을 촉구했다. 특히 "특정 환경적 요인에 따른 치료 실패"라는 역동적 기전이 임상적으로 확인됨에 따라, 향후 수술이 어려운 환자군에도 맞춤형 치료 설계가 더 정밀해질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유전체·단백체 기반 정밀의료가 암 분야 혁신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미국 NIH, 영국 NHS 등도 암 환자 대규모 오믹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표적치료 전략에 투자하고 있다. 이번 국립암센터 연구는 전 세계 연구진에 데이터베이스를 공개하며, 희귀 암종·동양인 환자 맞춤 샘플 발굴 영역에서 한국 바이오 업계의 경쟁력도 한층 강화된 것으로 평가된다.

 

정밀의료 발전을 위해선 개인정보 보호, 임상 데이터의 국제 상호운용 표준화 등 규제 정비 역시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동일 사안에 대해 EU, 미국, 일본 등 선진국도 각기 다른 의료 정보보호 및 데이터 유통 규제를 적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앞으로 식약처, 복지부, 과기부가 주도할 정밀의료 임상데이터 활용에 대한 법·제도 마련과 표준화 작업이 병행될 가능성이 크다.

 

연구 책임자인 김주영 박사는 “생성된 대규모 다중오믹스 데이터가 국내외 연구진에게 공개됨에 따라, 자궁경부암 환자의 맞춤형 치료제 및 정밀의료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연구 성과가 실제 임상 시장에도 빠르게 적용될 수 있을지, 그리고 유전체 분석 기반 맞춤형 치료의 표준화가 어떻게 진척될지에 주목하고 있다. 기술과 데이터 활용, 환자의 삶의 질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성장 조건이 형성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지성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립암센터#자궁경부암#정밀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