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피해 당시 두려움에 막막”…쯔양, 국감서 사이버레커 협박 피해 증언

정유나 기자
입력

사이버레커의 협박과 공갈 피해를 둘러싸고 정치권에 긴장감이 높아진 가운데, 유튜버 쯔양(본명 박정원)이 1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해 피해 경험을 상세히 증언했다. 이날 쯔양은 유튜브 등 플랫폼 차원의 대응 지연과 신고 후 영상 삭제의 어려움을 호소하며 사회적 논란을 촉발했다.

 

쯔양은 “피해 당시 아무것도 할 수 없을 만큼 굉장히 두렵고 아주 막막한 상황이었다”고 토로했다. 문제 영상 신고 이후 유튜브의 대응 속도와 절차에 대한 물음에 쯔양은 “사실 쉽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영상 확산 속도는 굉장히 빠르고 하루 만에 수십만명이 보는데 지워지는 절차가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오해를 풀기가 굉장히 어려웠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신고했던 영상들이 짧게는 1주일, 길게는 아예 지워지지 않은 적도 있었다"고 밝혀, 심각한 2차 피해 우려를 강조했다.

국민의힘 김장겸 의원 역시 과거 사이버레커들이 공론화 과정에서 온라인 이용자들을 단체로 비난하는 방식, 그리고 이를 통해 수익을 올리는 문제점을 거론하며 “좌표를 찍고 조리돌려서 수익을 내는 구조를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국정감사장에서는 사이버레커 문제의 제도적 개선과 신속한 피해자 보호 대책, 플랫폼 사업자의 책임 강화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대형 플랫폼의 신속한 모니터링 체계와 명확한 피해 구제 절차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문이 이어지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사이버레커로 인한 실질적 피해 양상과 대응 현황을 바탕으로, 관련 제도 보완과 온라인 미디어 환경 개선 방안 마련에 본격 착수할 전망이다.

정유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쯔양#국정감사#사이버레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