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한미 통상 합의로 불확실성 크게 줄어”…이창용, 대미 관세 영향·AI 산업 전망 밝혀

임태훈 기자
입력

대미 관세 충격 예상과 인공지능(AI) 산업의 지속적 성장 전망을 두고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BBC 인터뷰가 주목된다. 통상 이슈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고조된 가운데, 한미 협의가 국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8일 BBC와의 인터뷰에서 “한국과 미국의 통상 합의가 불확실성을 상당히 줄였다”며 적극 평가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창용 총재는 “미국의 기초 과학 역량과 한국의 제조 및 응용 기술 역량을 결합하는 합작 투자가 발전한다면 정말 좋을 것”이라며, 양국 협력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특히 대미 관세와 관련해 이 총재는 “올해 상반기에는 수출 호조 덕분에 데이터가 나쁘지 않았다. 그러나 하반기에 더 큰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지적했다. 무역 긴장 상황에 대해서도 “긴장 전부터 이미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이뤄졌고, 아시아의 공장 역할을 하던 중국 이외 지역으로 시장 다변화를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특정 산업에서 중국의 경쟁력이 확대되면서 생산지 조정이 필요해진 측면이 있다”고 덧붙였다.

 

AI 산업에 대한 전망도 주목할 만했다. 이창용 총재는 “신기술은 우리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측면”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특히 인공지능, 즉 AI 분야에서 좋은 위치에 있다. 소프트웨어뿐 아니라 하드웨어 부문에서도 강점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AI 산업을 둘러싼 거품론에 대해서는 “거품이 있다 하더라도 치열한 AI 경쟁 속에서 누가 승자가 되든 AI 붐은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AI는 고사양의 대규모 서버, 소형 기기, 피지컬 AI 등에도 활용돼 막대한 반도체 수요를 일으킨다”며, “한국은 다른 나라들에 비해 조금 더 안전하다”고 평가했다.

 

정치권과 산업계는 이창용 총재 발언에 주목하며 향후 한미 협력 방향과 국내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하반기 대미 관세 영향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한편, AI 등 신기술 분야에서의 주도권 확보 전략 마련에 나설 전망이다.

임태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창용#대미관세#ai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