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AI컴퓨팅센터 해남 선정, 지역 역차별” 과방위 야당의원들, 광주 ‘AI연구소’ 설치 촉구

강다은 기자
입력

인공지능 산업 주도권을 둘러싼 정치적 대립이 재점화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의원들은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가 인공지능(AI) 컴퓨팅센터’ 후보지로 전남 해남군이 선정된 것에 대해 즉각 반발하며, ‘국가 AI 연구소’의 광주 설치를 촉구했다.

 

과방위 야당 의원들은 이날 배포한 자료에서 “안타깝게도 ‘국가 AI 컴퓨팅센터’ 설립을 위한 민간 컨소시엄은 광주시민의 기대와 다른 결정을 했다”고 직격했다. 이어 글로벌 수준의 AI 연구개발(R&D) 확보를 위해서는 “민간 영역 외에도 공공 영역에서의 견인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원천·응용·실증을 아우르는 국가 핵심 R&D 허브를 광주에 구축해야 기술 축적과 산업 전환 속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 의원은 또 “광주에 AI 실증센터를 만들어 국산 AI 반도체의 실·검증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며, 광주 국가 AI 데이터센터의 용량 및 에너지 효율 확장도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야당 의원들의 이 같은 요구는 최근 KT, 네이버클라우드, 카카오 등이 참여한 삼성SDS 컨소시엄이 전남 해남·영암군 ‘솔라시도’ 데이터센터 파크 부지에 국가 AI컴퓨팅센터를 구축하는 사업안을 제안한 데서 비롯됐다.

 

정치권 일각에선, AI 국가사업 주도권 배분을 놓고 지역 간 역차별 문제가 재조명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야당 의원들은 “공공영역 주도의 AI R&D 강화가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는 핵심”이라고 거듭 밝혔다.

 

이와 관련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민간 컨소시엄 평가 결과와 지역 인프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정치권 내에선 향후 ‘AI 연구소’ 광주 설치 여부가 AI 정책 추진 동력과 지역 균형 발전에 직접적 영향을 줄지가 주요 관심사로 부상했다.

 

국회는 이후 회기에서 국가 AI 산업의 균형 발전과 R&D 투자 방향을 두고 본격 논의에 나설 계획이다.

강다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더불어민주당#조국혁신당#ai컴퓨팅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