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 몰래 준비한 남편”…은퇴 후 ‘땅 매입’ 갈등, 재산분할 쟁점
은퇴 후 퇴직금을 이용해 시댁 인근 농지를 몰래 매입한 남편과 이로 인해 깊은 갈등을 겪은 한 여성의 사연이 알려지며, 부부 간 신뢰와 재산분할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커지고 있다.
A씨(50대 여성)는 남편이 25년 동안 직장 생활을 한 뒤, 아무런 논의 없이 퇴직금 전액으로 시골 시댁 옆의 땅을 산 사실을 알게 됐다. “남편이 귀농이 꿈이었다며 일방적으로 땅을 샀다”고 밝힌 A씨는, 서울에서 나고 자란 자신에겐 갑작스럽고 받아들이기 힘든 결정이었다고 호소했다.

A씨는 남편이 이미 건축사무소까지 찾으며 집을 지을 계획을 세운 데다, 반발하자 “내가 평생 벌어온 돈인데 왜 간섭하냐”며 퇴직금 사용에 대해 공유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고 전했다. A씨는 “은퇴 후 함께 여생을 보내려던 나의 바람이 허망하다”며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상담을 요청했다.
법률 전문가인 양나래 변호사는 “경제적 결정을 일방적으로 내린 것과 더불어, 감정적으로 상처를 준 부분에 대한 증거가 있다면 이혼 사유로도 인정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남편 명의의 퇴직금 역시 혼인 기간 동안 형성된 공동재산으로 인정받을 수 있고, 아내의 내조·자녀 양육 기여도도 재산분할 시 고려된다고 조언했다.
이번 사례는 은퇴 후 부부가 갖는 삶의 방향성에 대한 가치관 차이가 갈등의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동시에, 일방적 경제 결정이 부부 관계와 가정 내 신뢰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퇴직금과 같은 주요 자산의 법적 성격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
전문가들은 “가정 내 중대한 재산 결정은 논의와 합의가 선행돼야 하며, 부부 사이의 신뢰 회복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남은 가족 내 갈등의 향배와, 재산분할 등 법적 처리 과정에도 관심이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