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면역 균형 잡는 p300 단백질”…세브란스, 알레르기 천식 억제 경로 규명

최유진 기자
입력

면역계의 적절한 균형 유지를 결정하는 단백질이 알레르기 천식 치료의 핵심으로 부상했다. 국내 연구진이 p300 단백질이 조절 T세포(면역 억제세포) 기능을 강화하는 경로를 규명하며, 천식 등 만성 면역질환에 대한 맞춤형 치료제 개발 가능성에 주목이 쏠린다. 업계에선 이번 성과를 '면역 기반 신약 경쟁의 분기점'으로 해석하고 있다.

 

세브란스병원 알레르기·천식센터 손명현 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윤호근 교수 공동 연구팀은 17일, p300 단백질이 GBP5 유전자 발현을 조절해 조절 T세포(Treg)의 정상적 면역 억제 기능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번 발견은 알레르기 천식이 외부 자극에 대한 과도한 면역반응 탓에 발생하는 점에 착안, p300 단백질 결여가 면역 균형 붕괴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을 실험적으로 입증한 것이다.

연구팀은 알레르기 천식에 걸린 마우스에서 p300 단백질을 제거하자, 정상군 대비 조절 T세포의 수와 기능이 모두 저하되고 '도움 T세포'(Th cell)의 활동이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늘어 기도 염증이 심화되는 현상을 관찰했다. 특히, 염색질 면역침강(ChIP)과 RNA 시퀀싱(RNA-seq) 결과, p300 단백질이 면역 활성화에 중요한 GBP5 유전자와 직접 결합해 유전자 발현을 촉진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번 연구는 GBP5 유전자 조절 과정과 p300 단백질의 역할, 그리고 조절 T세포 증식 및 면역조절 기능 유지 등 기존 면역학 연구의 미비점을 구체적으로 보완했다. 천식 외에도 면역 과잉반응이 원인인 류마티스관절염 등 다른 자가면역질환에도 적용 가능성이 점쳐진다.

 

글로벌 천식 및 면역질환 치료제 시장에서는 이미 다양한 바이오마커와 신호전달경로를 기반으로 신약 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미국, 유럽에서는 크리스퍼/카스9 기반 유전자 편집과 세포 면역치료 등 차세대 면역 조절 플랫폼이 임상 2~3상 단계에 진입한 사례가 속속 보고되고 있다. 이번 p300-GBP5 경로 규명은 국내 연구진의 원천기술 확보와 글로벌 기술이전·공동 연구 협력의 기반이 될 전망이다.

 

식약처, FDA 등 보건당국은 최근 면역세포 조절 기반 치료제의 안전성·유효성 밸런스를 극도로 엄격히 요구하는 추세다. 이 때문에 정확한 타깃 규명과 분자수준의 기전 설명이 신약 허가의 결정적 요건이 되고 있다. 업계는 p300 단백질 및 GBP5 유전자 연관 치료제가 실제 규제 문턱을 넘어설 추가 근거 확보에 집중하는 분위기다.

 

손명현 교수는 "p300 단백질을 조절하는 방식의 치료 후보물질이 실제 임상에서 효과를 입증할 경우, 천식 및 관련 면역질환 치료의 패러다임이 한 단계 진전될 수 있다"는 견해를 내놨다. 산업계는 이번 연구 결과가 실제 시장으로 이어질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최유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세브란스병원#p300단백질#조절t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