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관세협상 후속 절차 원팀 총력대응”…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 당정대에 소통 채널 강화 촉구
정치

“관세협상 후속 절차 원팀 총력대응”…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 당정대에 소통 채널 강화 촉구

권혁준 기자
입력

대미 관세협상 후속 조치를 두고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과 여당, 정부가 치열한 논의를 이어갔다. 당정대 일체 협력이 강조되는 가운데, 미국과의 경제 협력 강화와 한미 소통 채널 유지가 핵심 쟁점으로 부각됐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8월 10일 서울 삼청동 국무총리 공관에서 열린 고위당정협의회 모두발언에서, 지난달 말 타결된 대미 관세 협상의 실질적 이행을 위한 후속 절차에 여당과 정부의 적극적 협조를 요청했다. 그는 "큰 틀에서 합의를 이뤘지만 아직 세부적 후속 절차가 남아있는 만큼 당정대(여당·정부·대통령실)가 원팀이 돼 총력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강 실장은 "이번 협의 과정에서 미국 정부의 핵심 정책 결정권자와 논의할 수 있는 긴밀한 소통·협력 채널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한미동맹을 굳건히 유지해나가기 위해서라도 한미 간 소통 채널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당의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특히, 관세 협상 결과에 대해 "미국으로부터의 수출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면서 "조선업 협력 프로그램은 우리 조선 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한미 경제 협력의 패러다임을 제시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대통령실, 정부, 여당은 경주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준비 상황도 함께 점검했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APEC 정상회의의 경제 파급 효과가 최대 7조4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구체적 성과가 연결되고 국내 기업과 국민에게 실질적 혜택이 체감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 회의에서 논의되는 문제가 국익 실현과 민생경제 회복이라는 구체적 성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선 미국 통상 현안과 관련해 한미 협력의 신속한 후속 조치와 소통 채널 확장이 핵심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관세 협상의 구체적 세부 내용과 준비 중인 APEC 정상회의의 경제 효과 역시 여당과 정부의 협력 여부에 따라 실제 민생경제로 이어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앞으로 정부와 여당, 대통령실은 관세협상 이행과 한미 간 소통 촉진, 그리고 APEC 정상회의 준비에서 구체적 조치를 강화해 국익과 경제 회복에 실질적 결과를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권혁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강훈식#관세협상#ap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