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고 예산 증액 논의 본격화”…전남도, 국회심의 앞두고 현안사업 전략 점검

오태희 기자
입력

정치권의 예산 전쟁이 본격화된 가운데, 전라남도가 내년도 국고 현안사업 예산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 현안사업의 국비 반영을 둘러싼 전남도와 국회의 긴장감이 높아지는 모습이다. 도청에서 열린 대응 보고회에서는 사업별 예산 확보 전략과 증액 필요성 등에 대한 치열한 논의가 이어졌다.

 

전남도는 22일 오후 도청 서재필실에서 '2026년도 국고 현안사업 국회심의 대응 보고회'를 개최했다. 강위원 경제부지사가 주재한 이날 회의에는 실국별 간부들이 참석해, 예산 반영 현황과 문제점 점검에 나섰다. 특히 추가 증액이 필요한 주요 사업에 대해 논리를 보완하고, 신규 및 계속사업 130여 건을 일일이 검토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집중했다.

구체적으로 첨단 전략 및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민간전용 우주발사체 엔진연소시험시설 구축 설계비 20억 원, 지역산업 위기대응 연구개발(R&D) 60억 원의 반영 상황과 필요성을 점검했다. SOC 분야에서는 호남고속철도 2단계 사업에 499억 원, 경전선 전철화(광주송정~순천) 1천180억 원, 강진~완도 고속도로 2단계에 118억 원 등 대형 인프라 예산 현황이 논의됐다.

 

농림·해양 분야 역시 국립 김산업 진흥원 설립 마스터플랜 수립비 10억 원, AI 첨단 축산업 융복합 밸리 조성 타당성 조사비 5억 원 등 여러 사업의 국비 반영 필요성이 제기됐다. 전남도 관계자는 “분야별 핵심 사업에 증액 논리와 지역 필요성을 더욱 설득력 있게 보완하라”고 강조했다.

 

전남도는 올해 정부 예산안에 첨단 연구개발, 에너지신산업, 문화·관광 융복합 산업 등 주요 현안이 포함되면서 9조 4천억 원 규모의 국고예산을 확보한 바 있다. 이는 지난해 대비 5천억 원 증가한 수치다.

 

전남도와 정치권은 본격적인 국회 예산심의를 앞두고 필요 예산 반영을 위해 적극적 협의 방침도 확인했다. 향후 국회 논의 과정에서 주요 사업 예산 증액 여부와 정치권 협상력이 지역 예산 확보를 판가름할 전망이다.

오태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전남도#강위원#국고예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