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엔 관세 없다”…트럼프 발언에 국제 금값 2.5% 급락
11일(현지시각) 미국(USA)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금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히면서, 국제 금값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번 발언은 최근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급등하던 금 선물 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주요 금 수입국들과 글로벌 투자자들은 이 같은 결정이 실물 자산 시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현지 시각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금 선물 근월물 종가는 온스당 3,404.7달러로, 전일 대비 2.5% 하락했다. 며칠 전 미 세관국경보호국(CBP)의 1㎏ 골드바 및 100온스 골드바 관세 부과 가능성 보도로 인해 금값은 크게 올랐고, 직후 백악관의 해명과 트럼프 대통령의 무관세 방침 재확인으로 불확실성이 빠르게 해소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진보 성향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금은 관세가 부과되지 않을 것”이라고 직접 밝혔다.

1㎏ 골드바는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가장 널리 거래되는 국제 표준 규격으로, 업계에서는 본래부터 관세 부과 가능성을 낮게 점쳐왔다. 그럼에도 최근 연이은 관세 논란으로 시장은 큰 폭의 등락을 겪었고, 투자 심리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미국 정부의 대응에 대해 각국 금융시장 또한 즉각적으로 반응했다. 주요 투자은행과 애널리스트들은 금값 하락을 “불확실성 해소에 따른 조정”으로 해석하며, 이후 금리 정책과 글로벌 경기 동향에 따라 금값 움직임이 좌우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짐 위코프 키트코 메탈 선임 애널리스트는 “금리 인하 기대감이 여전히 금값에 우호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유력 매체들은 해당 사안을 ‘정책 불확실성의 해소가 시장의 본질적 변동 요인임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단기 금값 조정 후 중장기적 방향성은 여전히 금리와 글로벌 경기 사이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향후 세계 금 시장은 미국의 통화정책, 지정학적 리스크, 투자자 수요 등에 따라 추가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전문가들은 “국제 자산시장 내 안전자산 선호가 이어지는 한, 금의 전략적 가치 역시 변함없이 주목받을 것”이라 내다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