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68% 통일 필요”…민주평통, 전쟁 위협 해소 이유 최다
정치적 갈등 국면에서 남북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국민 인식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가 전국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통일이 필요하다"고 답한 비율이 68.6%에 달했다. 최근 들어 통일 필요성 인식이 약화되는 흐름에도 불구하고, 국민 3명 중 2명 이상이 통일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결과로 정치권의 이목이 쏠린다.
민주평통이 10월 26일 발표한 3분기 ‘국민 통일여론조사’에 따르면, ‘매우 필요하다’는 응답은 35.5%, ‘어느 정도 필요하다’가 33.1%로 집계됐다. 반면 ‘별로 필요하지 않다’(19.0%)와 ‘전혀 필요하지 않다’(11.4%)는 응답은 총 30.4%, ‘모름·무응답’은 1.0%를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 74.6%에서 올해 2분기 68.9% 등으로 소폭 하락한 점이 주목된다.

세부 응답 분석 결과, 통일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는 '전쟁 위협 해소'(31.1%)가 가장 많은 이유로 꼽혔다. 이어 ‘경제 발전’(29.4%), ‘민족 동질성 회복’(14.4%), ‘자유와 인권 실현’(12.3%)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통일연구원이 10월 20일 공개한 조사에서는 통일 필요성이 49.0%로 절반 이하로 집계돼, 설문기관에 따라 차이가 확인됐다.
통일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로는 ‘미국’(60.2%)이라는 응답이 절대 다수를 차지했고, 이어 ‘중국’(28.3%), ‘러시아’(3.7%), ‘일본’(2.4%)이 뒤를 이었다. 북한에 대해 ‘협력·지원 대상’(47.3%)이라는 인식이 ‘경계·적대 대상’(40.8%)보다 높은 점도 확인됐다.
안보 인식 관련 질문에서는 ‘안정적’(49.7%)과 ‘불안정’(49.3%) 응답이 엇비슷해, 국민 내부에서도 갈등이 여전했다.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선 ‘군사적 긴장 완화’(35.7%)가 선행돼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북미정상회담 재개 가능성과 관련해선 ‘낮다’(49.1%)는 시각이 ‘높다’(46.8%)를 소폭 앞질렀다. 민주평통은 이와 관련해 “최근 워싱턴 D.C 한미정상회담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대화를 요청한 것에 국민적 관심이 집중된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치권에서는 조사 결과에 대해 국민 다수가 여전히 통일과 평화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대북 정세나 한반도 안보 상황에 따라 변동폭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이어진다. 전문가들은 “통일 필요성 인식의 완만한 하락에는 남북 긴장 고조, 경제·안보 이슈 등 복합적 요인이 영향을 준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번 조사는 글로벌알앤씨가 9월 12일부터 14일까지 전국 19세 이상 성인 1천 명을 전화 조사한 결과다(응답률 9.7%, 95% 신뢰수준, 표본오차 ±3.1%포인트). 정치권과 정부는 여론 변화를 예의주시하며, 남북관계 정책 방향 조정을 검토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