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해양 르네상스 주도할 준비 됐다”…정기선, 한미 조선협력 ‘혁신 동맹’ 강조
글로벌 해양 패권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정기선 HD현대 회장이 미국과의 조선 협력과 혁신 동맹 필요성을 정면으로 제기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퓨처 테크 포럼: 조선’이 27일 경북 경주에서 열린 가운데, 정 회장은 회장 취임 후 첫 공개 무대에서 “미국 해군을 필두로 한 차세대 함대 건조와 조선소 재건 등 새로운 해양 비전에 적극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정기선 회장은 최근 미국 해양 패권 재건 움직임에 대해 “HD현대는 지금까지 한국, 필리핀, 뉴질랜드, 페루 등 여러 나라에 함정 100척을 성공적으로 인도한 경험이 있다”며 “미국의 새로운 르네상스 시대를 열 든든한 파트너가 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4월 HD현대가 헌팅턴 잉걸스와 체결한 파트너십도 언급하며 그는 “양국 안보와 발전을 함께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시장 진출 전략과 관련해 정 회장은 “미국 조선소 지분 참여 및 인수를 포함,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전 세계에서 가장 준비된 파트너라고 미국 측이 평가한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울산조선소 방문 가능성에 관해서는 “언제든 방문을 환영한다”고 답했다.
한편 정 회장은 인공지능(AI) 및 차세대 제조 혁신 전략도 내세웠다. 그는 “AI 방산기업 안두릴과 협력해 차세대 무인 함정과 자율임무수행 기술을 개발하는 중”이라며, “자회사 아비커스는 이미 세계 최초로 상용 선박 자율운항 태평양 횡단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탈탄소화 흐름에 맞춰 “친환경 선박 개발과 AI 기반 운항 최적화, 연료전지와 암모니아 연료,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혁신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제조혁신 분야에선 “첨단 로봇 기술과 휴머노이드 도입으로 24시간 안전한 자율조선소 구축에 나선다”고 전망했다.
정 회장은 “글로벌 혁신 동맹이 산업 간 경계를 넘어선 협력을 이뤄낼 것”이라며 “이번 포럼이 한미 양국을 비롯한 세계 조선 산업의 미래에 새로운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마무리했다.
이날 포럼에는 글로벌 기업, 정부, 학계 리더들이 모여 미래 산업 전략을 공유했다. HD현대는 첫 번째 공식 세션 발표 주자로 조선 혁신의 비전을 제시했다. 정 회장의 행보에 따라 향후 한미 조선 협력 및 글로벌 시장 전략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