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하루 15분 빠르게 걷기”…밴더빌트대, 사망 위험 20% 감소 밝혀
IT/바이오

“하루 15분 빠르게 걷기”…밴더빌트대, 사망 위험 20% 감소 밝혀

조보라 기자
입력

걷기의 ‘속도’가 전체 사망 위험을 크게 줄이는 새로운 건강 지표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밴더빌트대 웨이 정 교수 연구진은 7만 9000여 명을 16년간 장기 추적한 대규모 연구를 통해, 하루 15분만이라도 빠르게 걷는 습관이 사망 위험을 약 20% 낮춘다고 30일 밝혔다. 기존에는 ‘일일 걷기 시간’이 주요 건강 지표로 꼽혔으나, 이번 연구는 ‘걷기의 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규명했다. 

 

연구팀은 미 남동부 성인들을 대상으로 걷기 행동을 분석해, ‘빠르게 걷기’와 ‘느리게 걷기’로 구분했다. 빠르게 걷기는 운동 중 걷기 또는 계단 오르기처럼 속도를 동반한 활동들을 의미한다. 한편 느리게 걷기는 일상적인 도보나 반려동물 산책처럼 낮은 강도의 이동을 가리킨다. 하루 15분간 빨리 걷는 그룹의 전체 사망률 감소폭은 19%에 달했다. 반면 하루 3시간 이상 천천히 걷는 이들은 4% 내외, 3시간 미만 느리게 걷는 경우는 1~2% 감소에 머물렀다. 

특히 빠르게 걷는 시간이 하루 1시간을 넘기면, 심혈관 질환 사망률이 무려 27%까지 낮아지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느긋하게 긴 시간을 걷는 것보다, 짧더라도 강도 있는 활동이 신체 건강에 직접적 효과를 준다는 최신 근거다. 

 

전문가들은 빠르게 걷기가 연령, 기저체력, 소득수준을 불문하고 누구나 실천 가능한 생활운동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웨이 정 교수도 “빠르게 걷기는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건강 행동으로, 특히 취약계층 건강 불평등 완화에도 중요한 열쇠가 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한편 전 세계적으로 걷기 건강의 기준은 만보기 기반 ‘1일 1만보’에서 ‘속도 중심의 걷기’로 재편될 가능성도 있다. 의료계는 앞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스마트워치 등 바이오 기술을 활용한 ‘걷기 속도 모니터링’ 기능의 상용화 움직임에도 주목하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연구 결과가 실제 생활습관 변화와 건강격차 해소에 실질적 영향을 미칠지 면밀히 살펴보고 있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밴더빌트대#웨이정교수#빠르게걷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