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울산공항 좌석 공급 확대”…에어부산, 제주 노선 임시 증편 조치 배경

한유빈 기자
입력

울산공항 노선 확대 문제가 다시 불거지면서, 지방 항공 인프라와 관련된 논쟁이 새 국면에 접어들었다. 에어부산은 10월 26일부터 12월 5일까지 울산∼제주 노선 항공편을 임시 증편한다고 밝혔다. 시점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 이후 공정거래위원회가 부과한 조건의 이행 차원으로 분석된다.

 

울산시는 이날 에어부산의 임시 증편 사실을 전하며, 해당 기간 화요일과 금요일에 기존 왕복 2회에서 1회씩 추가된 왕복 3회 운항 체계가 마련된다고 설명했다. 운항편은 울산발 제주행 기준 오전 11시 25분, 오후 3시 15분, 오후 6시 50분이며, 제주발 울산행은 오전 9시 35분, 오후 1시 30분, 오후 4시 55분 각각 출발한다는 구체적인 일정도 공개했다.

배경에는 지난해 12월 12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최종 합병에 따라 공정거래위원회가 조치 사항을 부과한 사실이 있다. 당시 공정위는 에어부산이 2019년 울산공항 공급 좌석의 90% 수준을 10년간 유지하는 조건을 부과했다. 에어부산의 증편 노선은 이러한 시정조치 실행의 일환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이와 달리 지역사회에서는 항공 인프라의 지속적인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울산공항에서는 현재 매주 울산∼김포 노선 42편(대한항공 28편, 진에어 14편), 울산∼제주 노선 60편(대한항공 14편, 진에어 14편, 에어부산 32편) 등 총 주간 102편의 항공편이 운항된다. 시 관계자는 "울산공항 노선 확대를 통해 시민이 보다 편리하게 항공을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지역 정치권과 시민단체는 이번 증편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앞으로 추가 노선 개설 및 지속적 공급 유지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정책 이행 상황에 따라 지역 균형발전, 접근성 향상 등 중장기적 논의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울산시는 향후에도 울산공항 활성화를 위한 협의를 계속할 계획이다. 이를 두고 노선 확대와 지역 항공 정책 개선을 둘러싼 논쟁이 정국의 주요 이슈로 부상할지 주목된다.

한유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에어부산#울산공항#공정거래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