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AI 3대 강국 위해 총력”…이재명 대통령, 샘 올트먼과 국내 협력 확대 메시지

전민준 기자
입력

정치권이 AI 산업 패권 경쟁의 중심에서 맞섰다. 이재명 대통령이 2025년 10월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오픈AI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와 만남을 가진 자리에서, 혁신 산업 정책과 국가적 비전에 국내 대기업이 동반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세계 AI 3대 강국’ 달성을 국정 핵심 목표로 내건 만큼, 대통령실은 이번 접견의 의미를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재용 삼성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동석해 국내 AI 생태계와 오픈AI 간의 본격적인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는 대화가 진행됐다. 자리의 분위기는 환대 속에서 상호 공감대가 이어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시작에서 “제가 챗GPT 유료 구독자”라고 웃으며 말문을 열었고, 샘 올트먼 CEO는 “유료 구독자가 제일 많은 나라는 한국이라는데, 감사하다”고 답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과거 만화에서 보던 것이 현실이 됐다”며 “인공지능 개발은 금속을 개발하는 것과 같은 엄청난 효과를 가져온다고 한다. 완전히 새로운 세상을 열어주신 것 같다”고 덧붙였다. 다만 “그 세상은 행복할 수도, 아주 위험할 수도 있다”며 “행복한 세상이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샘 올트먼 CEO는 “한국은 번창하는 AI 생태계 개발을 목표로 한다”며 “이 분야에서 함께 하게 돼 기쁘다. 한국에는 세계 어느 국가도 갖고 있지 않은 산업기반이 존재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소버린 AI(정부주도 AI)의 목표에 함께할 수 있길 바란다. 국가적 수요를 뒷받침하면서 AI로 행복한 세상을 만들고 싶다”고 밝혔다. 또한 “삼성, SK하이닉스와 파트너십을 맺은 것도 고무적”이라고 언급해 국내 기업과의 긴밀한 협력을 시사했다.

 

재계 역시 공식적인 발언을 이어갔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정부가 앞장서고 기업이 함께 뛰면서 단기간에 대한민국 AI 인프라 혁신의 토대를 마련하게 됐다”며 “오픈AI와의 협력으로 글로벌 AI 패러다임을 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삼성은 앞으로도 국가적 비전에 적극 동참하겠다. 중소·벤처기업을 포함해 건강한 AI 생태계 육성에도 앞장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유엔총회에서 이 대통령이 제시한 ‘모두를 위한 AI’ 비전과 청소년 인재 양성 의지를 피력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아주 중요한 파트너인 올트먼 회장과 함께해 기쁘다”며 SK 역시 AI 3대 강국 달성에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특히 “메모리 반도체 관련 커다란 주문이 있었다”며 “AI 인프라 확충의 발판이 계속돼 한국이 AI 3대 강국으로 자리잡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치권은 대통령 중심의 민관 협력을 넘어, 국내 대기업과 세계적 AI 기업 간의 연결을 기반으로 AI 표준 및 생태계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경제계 주요 인사들이 직접 참여한 만큼, 앞으로 국내 AI 인재 육성, 산업기반 강화, 해외 파트너와의 전략적 협력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기업-정부-글로벌 파트너 간 연대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으며, 다음 단계로 국가 AI 전략 실현을 위한 정책 실행과 R&D 투자 확대가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전민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샘올트먼#이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