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선업 최강자 재도약하겠다”…트럼프, 이재명 대통령과 한미 조선 협력 강조
조선업 주도권을 둘러싸고 미국과 한국 정상이 손을 맞잡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은 29일 경주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 모두발언을 통해 양국 간 조선 산업 협력 확대를 공식화하며, 글로벌 제조 강국의 의지를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러분들이 정말 매우 짧은 시간 안에 창조하고 이뤄낸 것들이 정말 놀랍다”면서 “한국이 조선업의 대가가 됐기에 우리와 협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 조선 산업의 재도약을 위해 한국의 기술과 경험이 핵심적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점을 명확히 한 대목이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우리 미국은 조선업에서 가장 큰, 1등이었지만 이후 일련의 매우 나쁜 결정들과 관심 부족 탓에 더 이상 배를 많이 만들어내지 못했다”며, 과거 조선업 강국으로서의 미국의 위상 약화를 지적했다. 그는 “선박 건조는 필수적인 일로, 필라델피아 조선소와 다른 여러 곳에서 우리가 함께 일하고 있다. 여러분들이 들어와 미국에서 배를 함께 만들고 있다. 우리는 선박 건조를 시작할 것이고, 짧은 기간 안에 최고로 올라 설 것”이라고 밝혔다.
정치권에서는 미국이 한국과의 대규모 조선 분야 협력을 통해 자국 제조업 경쟁력 회복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 내 일부 입장에서는 한국 조선업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데 대한 경계 목소리도 제기됐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한미 기술동맹을 강조하면서 국익 차원의 전략적 선택이라는 해석이 힘을 얻고 있다.
한미 정상의 조선업 협력 선언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 흐름과 맞물려 양국 산업계는 물론 국제 조선시장 판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일각에서는 미국의 제조업 르네상스 전략과 결합될 경우, 한미 경제 동맹이 에너지, 반도체를 넘어 산업 전반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분석도 뒤따르고 있다.
이날 경주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은 미래 조선업 협력의 출발점으로 평가됐다. 정부는 양국 핵심 조선소를 축으로 공동 기술 투자와 인력 교류를 추진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