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당히 조사받겠다”…김영환 충북지사, 국조위증 혐의로 경찰 출석
정치적 충돌의 현장에 김영환 충청북도지사가 등장했다. 국회가 오송참사 국정조사에서 위증했다고 고발한 지 한 달여 만에, 경찰이 김 지사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에 나서면서 파장은 확산되고 있다. 위증 혐의 관련 법적 책임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한 번 정치권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서울 영등포경찰서는 4일 오후 2시, 국회증언감정법 위반 혐의로 김영환 충북지사를 호출해 조사에 돌입했다. 이는 국회에서 김 지사 고발 안건이 의결된 후 한 달이 조금 지난 시점이다. 이날 영등포경찰서에 모습을 드러낸 김 지사는 "당당하고 성실하게 조사받겠다"고 밝혔다. 경찰 조사실로 들어서며 취재진에게 이같이 짧게 언급했다.

김 지사의 위증 혐의는 지난 9월 10일 열린 오송참사 국정조사에서 비롯됐다. 그는 참사 당일 지하차도 상황을 CCTV를 통해 실시간으로 보고 있었으며, 10곳 이상에 직접 전화했다고 진술했지만, 국회에서는 해당 증언이 사실과 다르다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지난 9월 2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여당 주도로 오송참사 국정조사 결과보고서를 채택하며 김 지사를 국회증언감정법 위반 혐의로 고발하는 안을 함께 의결했다.
국회증언감정법은 국회에 출석한 증인이 허위 진술을 할 경우 최소 1년에서 최대 10년까지 징역형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오송참사 희생자와 유가족들의 진상규명 요구가 거셌던 만큼, 김 지사에 대한 법 집행 절차에도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치권은 김 지사의 조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여당은 "책임 있는 진술과 성실한 수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고, 야당은 "철저한 진상규명"을 계속해서 요구하고 있다. 오송참사 국정조사를 둘러싼 여야 간 이견이 분명한 상황에서, 김 지사에 대한 경찰 조사가 향후 정치적 논란을 재점화할지 주목된다.
이날 경찰은 김 지사를 상대로 구체적 진술 경위와 위증 의혹 전반을 심층 조사할 방침이다. 수사 결과에 따라 김 지사의 기소와 사법적 책임, 나아가 충북도정과 지역 정치 지형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