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해제 표결 혼선 집중 수사”…조경태, 특검 조사 협조 의사 밝혀
계엄 해제 표결을 둘러싼 혼선 논란이 정치권과 수사기관 간 정면 충돌로 비화했다. 내란 특검팀이 주요 쟁점인 표결 방해 정황을 집중적으로 추적하면서 조경태 의원 등은 조사에 협조 의사를 밝혔다.
내란 특검팀은 2025년 8월 12일, 국민의힘 조경태 의원을 비롯한 관계 인물들을 참고인으로 소환해 계엄 해제 표결 당시의 세부 상황을 조사하고 있다. 특히 추경호 전 원내대표가 비상의총을 이유로 여러 차례 장소를 변경하며 표결 참여를 방해했는지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국회와 당사를 반복적으로 이동하며 표결에는 전체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18명만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추경호 전 원내대표가 계엄 선포 직후 국회에서 당사, 다시 국회, 다시 당사로 3차례나 장소를 옮긴 과정이 표결 자체를 지연시키거나 방해하려는 의도와 연계되는지 조사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추 전 원내대표 간에 7분 이상의 통화 기록도 추가로 확보했다”며, 통화 내용과 대통령 지시와의 연관성까지 수사 폭을 넓혔다.
이날 조경태 의원은 “당사로 의원들을 오라고 적극적으로 안내한 인사들에 대한 조사 역시 필요하다”고 밝혀, 특검 조사에 협조 입장을 명확히 했다.
정치권은 계엄 해제 표결 과정 전반에 논란의 시선이 쏠리자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국민의힘 내부에선 “당시 비상상황에서 의사소통 과정의 혼선이었다”는 해명과 함께 절차적 하자를 부인했으나,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은 “표결 방해 시도가 명확하다”고 강력히 비판했다. 특히 추 전 원내대표와 한덕수 전 총리 간 통화 기록이 드러나자, 야권은 “윗선 개입 의혹까지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윤석열 전 대통령은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네 차례 연속 재판에 출석하지 않았다. 서울구치소 측은 “사고 우려와 인권 문제”를 사유로 즉각적인 인치를 거부했으며, 재판부는 궐석 재판으로 전환하며 “불출석으로 인한 불이익은 피고인이 감수해야 할 문제”라고 밝혔다.
향후 정치권은 계엄 해제 표결 당시 혼선의 진상 규명과, 윗선 개입 의혹에 대한 특검의 수사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울 전망이다. 국회는 이번 이슈와 관련해 추가 청문회 개최 및 진상조사 착수 가능성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