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서 5년간 무기류 6천여건 적발”…박충권, 감시체계 강화 촉구
국회 경내에서 무기류 적발 사례가 최근 5년간 6천여건에 달한 것으로 드러나 정치권에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무기류와 위험 물품의 국회 반입이 반복되면서 감시 체계 강화 요구가 거세졌다.
국회 운영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충권 의원실이 16일 국회사무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5년 10월까지 국회 경내에서 적발된 무기류는 총 6천96건으로 집계됐다. 도검류가 5천179건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망치·송곳 등 공구류 558건, 가스총 127건, 권총 49건, 전기충격기 4건, 기타 179건이 그 뒤를 이었다.

적발된 도검류 대다수는 사무용 커터칼이나 다용도 접이식 칼 등 일상 생활용품이었으나, 전기충격기와 권총 일부는 신변 경호를 담당하는 경찰관이 사전 협의 없이 소지하다가 적발된 것으로 확인됐다. 가스총의 경우 주로 은행 보안업체 직원이 현금 수송을 위해 들고 들어왔다가 부주의로 적발된 사례가 많았다.
적발 사유 대부분이 실수나 부주의에 기인했음에도 불구, 국회 방호 시스템에 대한 우려는 이어지고 있다. 실제 이달 초 국회 의원회관 화장실에서는 손도끼와 너클 등 위험 물품이 발견돼 경찰이 내사에 착수하는 등 안보 취약점이 노출되기도 했다.
같은 기간 국회 경내에서 발생한 소동으로 경찰이 출동한 사례는 146건에 달했다. 지난달에는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행사 중 70대 여성이 국민의힘 성일종 의원을 폭행해 현장에서 체포되는 등 안전 관리 사각지대가 다시 도마에 올랐다.
박충권 의원은 "최근 국회에서 흉기와 모의총기 등 위험 물품 적발이 급증한 것은 매우 심각한 일"이라며 "국회는 국민이 찾는 열린 공간인 만큼 경내·외 감시 체계를 강화하고 안전 관리에 한 치의 허점도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국회 내 안전 문제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는 가운데, 정치권은 경내·외 무기류 반입 통제와 감시 강화 방안 논의에 본격 돌입할 전망이다. 국회는 다음 국회 운영위원회 회의에서 관련 대책을 중점 논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