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기술 확보·보호는 생존의 문제”…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 보호의 날 행사 개최

한유빈 기자
입력

경제안보와 기술주권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산업기술 보호를 위해 정부와 민간이 힘을 합쳤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가정보원은 18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국내외 산업 보안 전문가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5회 산업기술 보호의 날 기념식 및 2025 산업 보안 콘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기술 패권 시대의 경제안보 전략, 보호, 협력 그리고 생존’을 주제로 열렸다.

 

최근 글로벌 기술 경쟁이 격화되면서 각국이 산업기술 보호와 경제안보 대응에 나서는 흐름이 뚜렷하다. 행사 1부에서는 산업기술 유출 방지와 보호활동에 기여한 개인과 단체에 대한 표창이 이어졌고, 마틴 길 미국산업보안협회 부회장이 ‘한국 기업과 보안의 가치’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이날 2부 세션에서는 미국의 기술 유출 대응 현황,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국가 핵심 기술 식별과 정보 유출 탐지, 첨단기술 법제 개선, 글로벌 기술안보 강화 시대의 산업기술 보호법 등 다양한 주제를 두고 논의가 펼쳐졌다. 정부와 전문가들은 새로운 기술 패권 질서 속에서 산업기술 보호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며 현장 중심 대응 필요성에 공감했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새 통상 질서 하에서 주요국이 미래 산업 주도권을 쥐기 위해 기술 확보와 보호에 사활을 걸고 있다”며 “정부는 산업기술 보호 체계를 한층 더 강화하겠다. 또한 현장 목소리를 반영한 제도 개선과 기관간 협력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동수 국가정보원 1차장은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격화로 첨단기술이 국가경쟁력과 안보의 중심축으로 떠올랐다”며 “민간과 정부가 기술 보호협력을 다지고, 대한민국 기술 가치를 높여 지속 가능한 혁신과 글로벌 협력의 중심국이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가정보원은 앞으로도 현장과의 소통을 확대해 산업기술 보호 정책을 지속 강화할 방침이다. 산업계와 전문가들은 기술유출 방지를 위한 법제 강화, 그리고 국제 협력의 폭을 더욱 넓혀야 한다는 데에 인식을 같이 했다.

한유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산업통상자원부#국가정보원#마틴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