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전용 90일 비자 건의”…조지아주지사, 트럼프에 한국인 입국 개선 촉구
한미 경제·외교 현안이 다시 주목받는 가운데, 미국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인 근로자 대규모 구금 사태를 계기로 비자 제도 개선을 둘러싼 적극 행보가 이어지고 있다. 24일 서울에서는 조현 외교부 장관과 브라이언 켐프 미국 조지아 주지사가 면담을 갖고, 제조업 전용 90일 비자 신설 등 한미 간 주요 현안을 집중 논의했다.
이날 조현 외교장관은 켐프 주지사에게 최근 조지아주 내 한국 근로자 구금 사건의 재발 방지와 함께, 한국 기업인 및 전문 인력의 원활한 입국과 현지 공장 설립·투자 이행을 위한 실질적 지원을 요청했다. 조 장관은 “한국인의 입국과 투자 활동 보장이 조지아에도 큰 도움이 된다”며 “주지사 차원에서 각별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강조했다.

켐프 주지사는 “조지아와 한국의 경제 협력은 오랜 역사를 갖고 있고 매우 긴밀하다”며 재발 방지 의지를 거듭 밝혔다. 이어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해 공장 건설 및 설비 전문인력 등의 원활한 입국을 위해 제조업 전용 90일 비자 신설 필요성을 적극 건의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도 한국 숙련 인력의 미국 입국 및 활동 필요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며, 한미 간 비자 제도 개선 논의가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길 기대했다.
양측은 공급망 안정, 첨단기술·조선산업 분야의 협력 확대 필요성에도 공감했다. 조 장관은 “급변하는 안보·경제 환경에서 한미 제조업 부흥과 미래 전략분야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켐프 주지사가 적극적으로 역할을 해줄 것을 요청했다.
켐프 주지사는 “이미 조지아에는 첨단기술과 조선, 인공지능 분야 등에서 필수 인프라가 구축돼 있다”고 강조하며, “많은 한국 학생들이 유학 중이어서 양국 산업·인재 교류의 토양이 단단하다. 앞으로 미국 경제 성장에 기여하는 한미 협력이 더 발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속도를 내는 한미 비자 제도 개선 논의에 따라, 한국 인력의 미국 진출과 경제 협력 강화가 실제 성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외교당국은 한미·한-조지아 간 제조업 및 첨단분야 인재 교류 환경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