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불신의 벽 다시 확인”…이재명 대통령실, 김여정 담화에 평화 의지 재확인
남북 간 신뢰 회복을 둘러싼 충돌 속에서 이재명 대통령실과 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맞붙었다. 이재명 정부의 대북 유화 신호에 대해 김여정 부부장이 부정적인 공식 담화를 발표하며 정국의 긴장감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대통령실은 평화 정착 의지를 재확인하며 정부 차원의 일관된 노력을 약속했다.
28일 이재명 대통령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북한 고위 당국자의 대남 공식 담화가 나왔다. 대통령실은 같은 날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북 고위 당국자의 첫 대남 대화를 통해 표명된 북측 입장에 유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몇 년간의 적대, 대결 정책으로 남북 간 불신의 벽이 매우 높다는 점이 확인됐다”며 “싸울 필요가 없는 상태인 평화 정착은 이재명 정부의 확고한 철학”임을 강조했다. 또한 “정부는 적대와 전쟁 없는 한반도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일관되게 취해 나갈 것”이라 덧붙였다.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도 “정부는 북한의 반응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화해와 협력의 남북관계를 구축해 한반도 평화와 공존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차분히 일관성 있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김여정 부부장의 담화는 북한 당국이 이재명 정부의 대북 정책 방향을 주목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 준 것으로 평가한다”면서 “담화 수위는 기존보다 특별히 적대적이거나 조롱하는 표현은 없었다”고 해석했다.
반면, 김여정 부부장은 조한관계에 관한 담화에서 “우리는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으며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는 공식입장을 밝힌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재명 정부의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 전단살포 중지, 개별관광 허용 등 유화 조치에 대해 “‘성의 있는 노력’이라고는 하나 진작에 하지 말았어야 할 일들을 가역적으로 되돌려 세운 데 불과하다”고 평가절하했다. 이 대통령에 대해서는 “한미동맹 맹신과 대결 기도는 선임자와 다를 바 없다”고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정치권에서는 남북 간 신뢰 회복의 난관이 다시 한 번 확인된 셈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이와 함께 일각에서는 한반도 평화 기조를 흔들지 않겠다는 정부 의지가 분명히 드러난 만큼, 앞으로 남북대화 재개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날 국회와 정치권은 북측 담화와 정부의 대응을 놓고 엇갈린 공방을 벌였으며, 정부는 향후 남북 대화 재개와 평화 정착을 위한 다각적 노력을 계속 검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