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정부 전산망 복구 75% 달성”…시스템 신속 정상화, 디지털 행정 시험대

한지성 기자
입력

정부 주요 전산망의 장애 대란이 복구율 75%에 근접하면서 전국 행정 서비스의 복원 속도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6월 21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촉발된 재난으로 총 709개 정부 시스템 중 530개가 26일 오후 9시 기준 정상화됐다. 하루 만에 16개 정부 시스템의 복구가 추가로 이뤄진 셈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전산망 장애 사건을 ‘디지털 행정 신뢰’의 분기점으로 평가한다.

 

행정안전부 발표에 따르면, 교육부 홈페이지, 영문 및 어린이 홈페이지, 사교육카르텔부조리 신고, 학교급식정보마당을 비롯한 다중 대민 서비스가 복구 목록에 포함됐다. 복지부 디지털돌봄시스템, 원자력안전위원회 내부 포털 등 범정부 핵심 시스템도 신속하게 회복된 것으로 나타난다. 오후 9시에는 국가보훈부 AI보훈, 법제처 법제지원시스템, 교육부 교원소청, 해양수산부 스마트수산정보시스템 등이 추가로 정상 운영에 돌입했다.

정부 전산망은 중요도 등급에 따라 우선 복구가 진행된다. 1등급 필수 체계는 40개 중 34개가 복구돼 85.0%의 복구율을 기록했다. 2등급은 68개 중 54개(79.4%), 3등급은 261개 중 199개(76.2%), 4등급은 340개 중 243개(71.5%)로 등급별 차별화된 복구 성과가 나오고 있다. 대민 서비스, 안전망, 예산집행 등 긴급도가 높은 시스템이 우선순위로 집중되는 모습이다.

 

시스템 복원 과정에서는 가상서버, 백업 데이터, 클라우드 이중화 등 최신 IT 인프라가 활용됐다. 다만 일부 구형 시스템과 맞춤형 솔루션은 복구 작업에 시간이 더 소요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고를 통해 “국가 정보 인프라의 재난 대응 체계와 사이버 보안 전략을 재점검해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한다. 미국, 일본 등은 클라우드 기반 분산 백업, 실시간 장애 탐지 체계를 채택해 복원력을 제고하고 있다.

 

한편 디지털 행정망의 신속한 복구에도 불구하고 일부 행정 서비스는 여전히 제한 운영 중이다. 향후 정부는 복구된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 점검과 유사 사고 예방 정책을 병행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정보자원관리원 재해 복구 체계의 근본적 혁신과 업계 표준화가 산업의 신뢰성 확보에 관건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정부·공공기관의 IT 시스템 재해·복구 체계가 디지털 시대의 공공 혁신 수준을 판가름 짓는 잣대가 되고 있다.

한지성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전산망복구#교육부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