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애도는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오송 지하차도 참사 2주기 추모제서 유족·생존자 목소리 분출
오송 지하차도 참사 2주기를 맞아 정치적 책임과 진상규명을 둘러싼 충돌이 다시금 부각됐다. 유족과 생존자, 시민 등 200여 명이 모여 정부와 정치권의 책임을 촉구한 가운데, 대규모 참사를 둘러싼 정치적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진정한 애도는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라는 구호가 울려 퍼지며, 국정조사 추진을 바라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15일 오후 충북도청 앞에서 열린 오송 지하차도 참사 2주기 추모제에서 생존자협의회 대표 A씨는 “참사 당시 국민을 지켜야 할 국가는 없었다”며 “당시 지하차도에서 각자도생으로 빠져나왔다”고 회상했다. 그는 “지자체가 생존자 규모를 축소하며 책임 회피에 급급하다”며 “더불어민주당은 국정조사를 당론으로 채택해 신속히 추진해 달라”고 강조했다.

이경구 유가족협의회 공동대표 역시 “참사와 관련해 재판에 넘겨진 피고인들은 모두 억울하다고 주장하지만, 정작 억울한 이들은 빠져나오지 못한 희생자들”이라며 엄정한 진상규명을 요구했다. 그는 “오송참사는 여러 기관의 직무 유기로 발생한 것”이라며 “책임 소재가 명확히 밝혀질 때까지 기다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에는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의원(당 대표 후보), 김광용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민주당 이연희 의원(청주 흥덕) 등이 참석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의 화환도 자리를 지켰다. 이연희 의원은 “지난해 국회에 국정조사 요구안을 제출했지만, 불법 계엄 등 다른 현안에 밀려 제대로 논의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어 “검찰이 충북지사를 불기소 처분한 것을 사법적 한계로 본다”며 “국정조사를 통해 진실을 끝까지 파헤치겠다”고 강조했다.
시민들도 지속적으로 정치권의 책임을 주문했다. 20대 시민 정모 씨는 “사법부는 2년 동안 무엇을 했냐”며 “책임자들이 마땅한 벌을 받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40대 시민 오모 씨는 “오송참사를 시민들이 기억해 유사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송 지하차도 참사는 2023년 7월 15일, 미호강 제방 붕괴로 인해 지하차도가 침수되면서 차량 17대가 물에 잠기고 14명이 숨진 대형 사고다. 검찰은 사고 관련 정부 및 기관 공무원, 경찰 등 43명을 재판에 넘겼으며, 지금까지 2명의 형이 확정됐다.
정치권은 이날 추모제에서 다시금 국정조사 도입을 둘러싸고 격돌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당론 채택 및 신속 추진을 압박받고 있고, 책임자 처벌 및 구조적 문제 해소를 위한 과제도 산적하다. 국회는 향후 오송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본격 논의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