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저소득층 임금 상승 둔화·실업자 급증”…미국, 노동시장 불안 고조
국제

“저소득층 임금 상승 둔화·실업자 급증”…미국, 노동시장 불안 고조

최유진 기자
입력

현지시각 4일, 미국(USA)에서 저소득층 임금 상승률 둔화와 장기 실업자 급증 현상이 동반돼 노동시장 불안이 집중 조명되고 있다. 최근 고용 부진과 함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노동통계국장 경질까지 더해지며, 미국 내 경제지표 신뢰성과 사회적 파장이 확산되는 분위기다.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주당 806달러 이하를 받는 미국 하위 25% 노동자들의 6월 임금 상승률은 연 3.7%로 하락해, 2022년 말(7.5%) 대비 절반 수준에 그쳤다. 같은 기간 상위 25% 계층의 임금 상승률은 4.7%로 집계됐고, 전체 노동자 임금 상승률 평균은 4.3%에 머물렀다. 임금 상승 둔화가 저소득층에서 훨씬 두드러진 셈이다.

미국 저소득층 임금 상승률 3.7%로 둔화…장기 실업자 180만 명 넘어
미국 저소득층 임금 상승률 3.7%로 둔화…장기 실업자 180만 명 넘어

전문가 전망을 밑도는 7월 일자리 증가(7만3천 명), 그리고 5~6월 고용 데이터 하향 조정 역시 노동시장 내 고용난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미국 노동부는 27주 이상 실직 상태인 장기 실업자가 현재 180만 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팬데믹 시기를 제외하면, 이는 2017년 이후 최대치로, 전체 실업자의 4분의 1이 장기 실업자로 분류되고 있다. 단기간 내 고용회복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상황에서, 관세 변동과 기업들의 보수적 채용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도 시장에 부담을 더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고용보고서 발표 직후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통계국장을 전격 경질한 조치는 미국 행정부의 통계기관 독립성 논란을 야기했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케빈 해싯 위원장은 “데이터는 선전물이 될 수 없다”며 대통령을 옹호했으나, 전 노동통계국장 윌리엄 비치 등은 “통계 시스템 훼손”이라고 공개 비판하면서 논쟁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 언론은 행정부가 경제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연일 분석하며, 투자자와 시장의 불안 심리를 전하고 있다.

 

예일대 예산연구소는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확대와 정부 지출 축소가 최하위 10% 가계에 단기적으로 3% 넘는 실질 소득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고 추산했다. 같은 기간 상위 10% 가구는 약 1% 수준만 타격을 받을 것으로 분석돼, 저소득층 피해가 심화될 것이란 우려가 높다.

 

이처럼 미국 노동 통계 지표 부진과 정책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USA) 내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한 고용·소득 환경 악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워싱턴포스트 등 주요 매체는 “통계 신뢰성 위기와 노동시장 냉각이 경기 반전의 신호탄”이라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노동시장 지표와 정책 방향성 변화가 국제 금융시장과 글로벌 고용 시장에도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다고 진단한다. 향후 미국 내 고용 통계의 신뢰 여부와 저소득층 실질 소득 개선 가능성에 국제사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최유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미국#트럼프#저소득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