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비상계엄 대응·정치성향 충돌”…이장우 대전시장, 국정감사서 정당성 논쟁 격돌

최영민 기자
입력

정치적 충돌의 중심에 이장우 대전시장이 섰다. 2025년 10월 2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가 실시한 대전시 국정감사에서 12·3 비상계엄 당시의 시정 대응과 이 시장의 정치적 성향을 둘러싸고 여야 의원 사이 치열한 공방이 이어졌다. 국가적 혼란 속 대전시장의 결정과 이후 행동에 대한 점검이 현안으로 부각됐다.

 

더불어민주당 이해식 의원은 "비상계엄 당일 지방자치단체장 가운데 출근하지 않은 사람이 대구시장과 대전시장뿐이었다"며 대응의 적절성을 질타했다. 아울러 "대전시장이 세이브코리아의 탄핵 반대 집회에 참가한 것 또한 논란의 소지가 있다"고 날을 세웠다. 같은 당 채현일 의원 역시 "국가비상사태 시 지자체장은 현장 대응체계를 갖춰야 하는데 시장이 집에 있었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계엄 후 특정 집회에 참석하는 것은 탄핵에 반대하고 내란을 옹호하는 메시지"라고 가세했다.

조국혁신당 정춘생 의원은 "이장우 시장이 윤석열 대통령 복귀를 촉구하는 결의문 낭독 등 계엄 이후 여러 차례 윤 대통령을 옹호한 데 대해, 대전시민 입장에서 수긍할 수 없는 점이 많다"고 비판했다.

 

이에 맞서 국민의힘 고동진 의원은 "여야 모두 내년 지방선거를 의식해 각자의 정치적 해석을 하고 있지만, 계엄 대응에 대한 평가는 사건 당시 각 시도의 일관성을 감안해 이뤄져야 한다"고 반박했다. 국민의힘 박수민 의원은 "이장우 시장이 계엄에 즉각 반대입장을 표명했고, 예외적 비상상황에서 절차적 통제를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이 시장을 옹호하는 데 힘을 실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비상계엄을 정당하다고 표현하거나 옳다는 입장은 낸 적 없다"고 해명했다. 또한 "계엄 당일 집에서 실시간 상황보고를 받으며, 시장이 직접 나와 지휘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논란이 된 탄핵 반대 집회 참석에 대해선 "지역 종교계 요청으로 잠시 들렸던 것일 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국정감사에서 여야 의원들이 계엄 대응과 정치적 행보를 두고 첨예하게 맞서면서, 향후 대전시의 비상 대응체계와 지방정치의 실질적 책임론이 더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국회는 이 사안을 다음 회기에서도 집중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최영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장우#국정감사#비상계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