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수단 총동원해 청년 문제 해결”…이재명 대통령, 청년들과 직접 소통 강화
청년 일자리와 주거, 결혼·육아 지원을 둘러싼 현장이 대통령과 맞붙었다. 9월 19일 서울 마포구 구름아래 소극장에서 개최된 ‘2030 청년 소통·공감 토크콘서트’에는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참석해 150여 명의 청년들과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이어진 현장 정책 검토와 지시가 공개되며, 청년 정책을 둘러싼 논의가 정국의 주요 화두로 부상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화 첫머리에서 “우리 집에도 비슷한 입장의 청년이 있다. 많이 힘들지 않느냐”고 물으며 청년층에 대한 공감을 내비쳤다. 이어 채용 확대와 주거 지원, 육아 및 인턴십 기회 등 다양한 청년 요구가 쏟아지자 “회장님들에게 읍소했는데 다행히 들어주고 있다”며, 대기업 채용 확대와 연계된 정부 차원의 세제 혜택, 교육 훈련 지원 방안 마련을 지시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청년 주거와 관련해서는 공공임대 확대 필요성을 받아들이며 “임대가 투기를 막고 청년들에게 기회를 줄 수 있다. 전에는 포퓰리즘이라 했지만 이제는 바꿀 때”라며 정책 방향 전환의 의지를 드러냈다. 더불어 다자녀 가구·신혼부부 지원정책에는 “현금이나 지역화폐로 일원화해 달라”는 현장 의견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지원 방식의 변화를 시사했다.
뉴시스 보도에서는 청년 고용 환경을 “구조적으로 기회의 총량이 부족한 피해 계층”이라고 규정하며 “이렇게 된 것은 청년 잘못이 아니라 기성세대 잘못”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은 “대학 졸업 때 정년이 보장됐던 과거와 달리, 현재 청년은 일자리, 희망 모두 부족한 상황”이라며, 결혼과 연애마저 포기하는 현실을 지적했다. 이에 따라 “기회 확대 중심의 정책이 절실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청년층이 요구한 재생에너지 일자리 확대에 대해서는 “재생에너지 사회로 신속히 전환해야 한다. 거기에 엄청난 기회가 있다”고 답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에서 나온 청년 인턴십 프로그램 제안에 직접 정책실장에게 공간 확보 등을 검토하라고 지시하며 “적극적으로 가능한 범위에서 검토하라”고 말했다. 청년 남녀 갈등 문제에 대해선 “기회 부족이 갈등 원인”이라며 대화 확대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날 이재명 대통령의 현장 지시가 단순 약속에 그치지 않고 즉각적인 정책 변화를 이끌어 낼지 주목하고 있다. 여당은 대통령의 적극성을 강조하며 국정에서 청년 목소리를 반영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반면, 야권은 청년 불평등 해소에 실질적 성과가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정책의 구체성·실행력을 주문했다.
정가 일각에서는 청년 세대가 정치 핵심 세력으로 부각된 만큼, 토크콘서트를 계기로 청년층 표심 재편과 여야 주요 의제 전환이 가속화될 거란 분석도 나온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는 최근 청년층의 정책 신뢰도가 전체 표심 흐름에 급격한 영향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행사 마무리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여러분의 의견을 정책에 반영해 지금보다 나은 세상을 만들어 희망을 드리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정치권은 이번 현장 소통을 시작으로 청년 정책을 둘러싼 정면 충돌이 격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