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선 컷오프 억울함 없게 전면 개방”…정청래, 경선 방식 변화 시사
지방선거 경선 방식을 둘러싼 논란이 또다시 수면에 올랐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내년 6월 지방선거와 관련해 “억울한 컷오프 없이 당원 모두에게 직접 후보 선출권을 부여하겠다”고 밝히면서 정치권에 파장이 일고 있다.
정청래 대표는 25일 제주도에서 열린 제주도당 간담회에서 “당원주권시대를 전면적으로 열었다는 당대표로 기억되고 싶다”며, “당원들에게 후보 선출을 전면 개방해 억울한 컷오프를 원천적으로 없애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후보가 많아서 컷오프가 필요할 경우, 조를 나눠 경선을 실시할 것”이라며, 경선 절차의 구체적 방향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정 대표는 “10명의 후보가 출마하면 A조와 B조로 나눠 1차 예비경선을 권리당원만의 투표로 진행하고, 이후 각 조 상위권 인원들 간에 권리당원 50, 일반국민 50 비율로 본경선을 치른다”는 방식을 설명했다. 정 대표는 “컷오프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경선 체계를 통해 경선 이후에도 모든 후보가 당선인을 위해 합심하도록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정청래 대표는 이날 제주 4·3 사건에 대해서도 공식 입장을 밝혔다. 그는 “제주 도민에 대한 국가의 폭력으로 규정한다”며,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과 이후 치유, 보상의 작업이 진행 중이지만, 역사의 진실을 되돌리려는 움직임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방선거를 통해서도 제주 도민의 의사가 반영되고 관철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정치권 일각에서는 당내 민주주의 강화 주장과 경쟁 과열에 대한 우려가 맞붙는 모양새다. 정청래 대표의 발언이 당내 경선 경쟁과 지방선거 전략에 어떤 변화를 불러올지 주목받고 있다.
이날 정 대표는 제주시 새별오름에서 열린 제주 도새기 축제에도 참석하며 지역 여론 청취에 집중하는 행보를 보였다. 더불어민주당은 정 대표의 구상에 기반해 구체적인 공천 절차 세부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