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구금 한국인 60여명 송환 총력”…위성락, 정부 대응 방향 밝혀
한국인 다수가 캄보디아에서 보이스피싱 등 범죄 혐의로 구금된 것을 두고, 정부가 조속한 송환을 위해 외교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캄보디아 수사당국 단속으로 검거된 한국 국적의 범죄 혐의자 60여명을 빠르게 송환하는 데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며 “이번 주말까지 송환이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현지에서는 범죄조직에 억류된 국민의 구출 역시 난항을 겪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캄보디아 정부가 신병을 확보한 한국인을 먼저 송환하는 방안에 집중하면서, “절차 진전이 변수지만 항공편 등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캄보디아 내 스캠(사기) 관련 산업은 국제적으로 규모가 상당하다. 위성락 실장은 “캄보디아 스캠 산업에는 20만명가량의 다양한 국적 인력이 종사 중이며, 이 가운데 한국인은 1천명 남짓으로 파악된다”며 “최근 당국의 집중 단속으로 수천 명이 검거됐고, 검거 당시 한국인은 68명에서 현재 63명으로 일부 줄었다”고 전했다.
특히 캄보디아 정부와의 협조 문제에 대해 위 실장은 “한국 정부의 반체제 인사 송환 거부로 양국 협력이 차질을 빚는다는 우려는 사실이 아니다”라며 “캄보디아 정부도 검거한 한국 국민 송환에 전향적이고, 불필요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비화하지 않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양국이 구성한 경찰 등 수사당국 합동대응 태스크포스(TF)는 캄보디아 측 20명, 한국 측 4명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위 실장은 “공동 TF가 집중적으로 작업해 앞으로 더욱 많은 범죄혐의자를 검거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감금 피해 국민 구출에도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송환 조치가 순조롭게 마무리될 수 있도록 캄보디아 당국과의 협의를 계속할 계획이다. 정치권 내외에서는 국제 스캠 산업 확산과 그에 따른 국민 피해를 막기 위한 정부의 신속 대응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