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정치 탄압 주장에 국민 77% 동의하지 않는다”…윤석열, 여론 설득력 상실
정치

“정치 탄압 주장에 국민 77% 동의하지 않는다”…윤석열, 여론 설득력 상실

최유진 기자
입력

정치적 프레임을 둘러싼 충돌이 다시 불붙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수괴 혐의 재판 불출석과 ‘정치 탄압’ 주장에 대해 국민 다수가 동의하지 않는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여론조사 수치가 연이어 공개되며 정치권 파장과 향후 재판 전략에 새 변수가 부상했다.

 

여론조사기관 여론조사꽃은 7월 25일부터 26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윤석열 전 대통령의 ‘정치 탄압’ 주장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77.0%에 달했다. 반면 “동의한다”는 응답은 19.8%에 그쳐, 양측 간 격차는 57.2%포인트나 됐다. 국민 10명 중 7명이 넘는 이들이 윤 전 대통령의 주장을 설득력 없다고 평가했다.

윤석열의 ‘정치 탄압’ 주장, 국민 10명 중 7명 “동의하지 않는다”(여론조사꽃)
윤석열의 ‘정치 탄압’ 주장, 국민 10명 중 7명 “동의하지 않는다”(여론조사꽃)

지역별로 살펴보면 모든 권역에서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다수를 차지했다. 호남권이 86.6%로 가장 높았고, 경인권 79.0%, 서울 78.1%, 충청권 76.6%, 부·울·경 73.8%, 대구·경북 61.0% 순으로 전국적으로 고르게 형성된 반대 의견이 드러났다.

 

연령별로도 부정적 응답이 뚜렷했다. 40대(88.8%)와 50대(88.9%)에서 가장 높았고, 30대(78.7%), 60대(72.9%)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확인됐다. 윤 전 대통령의 전통 지지기반으로 꼽히는 18~29세(66.0%)와 70세 이상(62.5%)에서도 과반이 거부 입장을 밝혔다. 성별로도 남성, 여성 모두 75% 이상이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해, 특별한 성별 차이도 없었다.

 

정당 및 이념 성향별로도 비슷한 양상이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6.0%가 비동의 의견을 보였으며, 무당층도 ‘동의하지 않는다’ 61.1%, ‘동의한다’ 23.2%로 나타났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만 유일하게 ‘동의한다’(67.6%)가 우세했다. 진보층(93.6%), 중도층(79.9%), 보수층(54.3%) 모두 대다수가 윤 전 대통령의 주장에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다.

 

같은 기간 실시된 ARS 방식 조사에서도 유사한 분포가 확인됐다. 전체 응답자 중 72.1%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으며, 동의한다는 24.6%에 그쳤다. 지역·연령·이념 성향을 막론하고 비동의 여론이 60%를 상회했다. 특히 18~29세 남성 집단에서는 ‘동의’(46.7%)와 ‘비동의’(47.4%)로 팽팽한 접전 구도가 나타났지만, 전반적 흐름은 부정적 응답이 뚜렷했다.

 

정치권 반응은 엇갈렸다. 야당은 윤 전 대통령 주장의 설득력 부족을 지적하며 “사법 절차에 당당히 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은 “정치적 표적수사이자 부당한 재판”이라며 윤 전 대통령 옹호에 나섰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여론조사 결과가 단기간에 바뀔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도 나왔다.

 

이번 결과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재판 불출석과 ‘정치 탄압’ 프레임이 국민 다수에게 설득력을 얻지 못함을 보여준다. 이념·세대·지역별로 고르게 형성된 비동의 여론은 앞으로의 재판 구도와 정치적 행보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날 국회는 윤 전 대통령의 재판 불출석 문제와 정치탄압 주장 진위를 두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갔다. 정치권은 여론조사 결과를 근거로 정면 충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 법적·정치적 상황 변화가 주목된다.

 

전화면접조사는 여론조사꽃이 7월 25일에서 26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무선가상번호 활용 CATI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로 집계됐다. ARS조사는 같은 기간, 전국 1,008명을 무선 RDD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표본오차도 같다. 두 조사 결과 등 상세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 가능하다.

 

정부와 정치권은 변화한 여론 구조를 주시하며 향후 대응 방안을 고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유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윤석열#여론조사꽃#정치탄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