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대국민 사과”…의정갈등 해빙 신호? → 의료현장 정상화 쟁점
의료계 집단행동으로 의료공백이 장기화된 상황에서, 사직 전공의들이 공식적으로 국민과 환자단체에 사과 의사를 표명했다. 전공의 대국민 사과는 2023년 초 의정갈등 이후 처음으로, 의료 현장 복귀 추진과 여론 반전에 있어 중요한 분기점으로 해석된다. 업계와 정부는 이번 행보를 하반기 전공의 모집, 수련 재개뿐 아니라 전체 의료산업 정상화의 발판으로 삼고자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28일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소속 전공의 5명은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사무실을 방문해 “의정갈등 장기화로 불편과 불안을 겪은 국민께 사과드린다”며, 의료계의 책임을 인정하고 재발 방지 노력을 약속했다.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 이후 1년 5개월 만에 환자단체와 공식 접촉에 나선 배경에는 의료공백에 따른 국민 여론 악화가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실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조사에서 국민 88%가 의정 갈등 장기화로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는 응답이 나오는 등, 전공의 복귀 논의의 핵심 관건으로 환자와 사회의 신뢰 회복이 거론되고 있다. 의료현장에서는 하반기 수련 정상화를 위해 8월 초부터 병원별 모집이 이뤄져야 한다는 현실적 시한이 제시된 상황이다.
한편, 사직 전공의의 복귀를 위한 정부와 의료계 협의체도 지난주부터 가동됐다. 수련환경 개선과 인력 충원 방안이 주요 의제로 논의되고 있으며, 대전협은 “집단행동 당시 공개 사과가 쉽지 않았던 사정”도 설명했다.
환자단체 측은 단순 복귀를 넘어 조건 없는 진료 재개와 재발 방지 약속을 강조하고 있다.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는 “환자의 생명을 집단행동 수단으로 삼지 않겠다는 명확한 약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여론은 예전 같지 않다. 국회 전자청원에 올라온 ‘의대생·전공의 복귀 특혜 반대’ 청원이 단 5일 만에 5만 명을 넘었고, 28일 현재 7만5000명을 기록하는 등 비판적 기류가 뚜렷하다. 의료산업계에서는 제도의 개선, 국민 신뢰 회복이 전공의 복귀와 맞물려 의료 현장 정상화의 결정적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의료계 내외 전문가들은 “이번 사과와 복귀 논의가 향후 의료산업과 사회적 신뢰 회복의 분수령이 될 수 있다”며 “환자 중심 의료 체계 정립이 병행돼야 한다”는 의견을 내고 있다. 산업계는 실제 갈등이 해소되고 현장 복귀가 이뤄질지, 그리고 이를 뒷받침할 제도적 변화가 따라올지 긴장 속에 지켜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