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드, 한국 개발자 잡았다”…앤트로픽, 서울 사무소 신설로 협력 가속
미국 인공지능(AI) 기업 앤트로픽이 내년 초 서울 강남에 한국 사무소를 개설한다. 앤트로픽은 생성형 AI 모델 ‘클로드’ 시리즈를 앞세워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한 기업으로, 이번 진출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인도와 일본에 이어 한국을 세 번째 전략 허브로 삼는 것이어서 업계의 이목이 쏠린다. 최근 한국 기업과 개발자들의 클로드 활용이 세계 최상위권에 도달하면서, AI 개발력 및 시장 영향력이 급격히 부상하고 있다. 산업계에서는 “AI 플랫폼 패권 경쟁의 분기점”으로 이번 투자를 평가하는 분위기다.
앤트로픽의 클로드는 고난도 언어 이해와 코드 생성·해석 능력을 결합한 차세대 대형언어모델(LLM)로, 이미 한국 시장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실제로 앤트로픽 집계에 따르면 한국은 전체 및 1인당 기준 클로드 사용량 모두 전 세계 5위권에 올라 있다. 특히 AI 코딩 어시스턴트 ‘클로드 코드’의 월간 활성 이용자는 최근 4개월 간 6배 신장해 아시아 내 최대 성장세를 기록했다. 국내 엔지니어가 글로벌 클로드 코드 사용자 수 1위를 차지하는 등 현장 실효성이 뚜렷하다.

이번 앤트로픽 서울 사무소 신설을 통해 기업 맞춤형 지원과 생태계 협업이 강화될 전망이다. 스타트업 전담 총괄이 첫 인사로 합류했고,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 및 대기업과의 파트너십 확대가 주요 과제로 떠올랐다. ‘클로드 포 스타트업’ 프로그램은 국내 벤처기업 및 개발자들에게 API 크레딧, 교육 등 실질 자원을 제공하며 높은 호응을 받고 있다. 리걸테크 분야에선 로앤컴퍼니가 클로드 도입 후 법률 워크플로 효율이 1.7배 개선됐다. SK텔레콤 등 대기업도 다국어 AI 고객응대 시스템에 클로드를 적용하는 등 기업 차원의 활용도 증가 추세다.
앤트로픽은 이번 서울 진출이 아시아 최고 수준의 IT·스타트업 생태계와의 직접적 연결점이 될 것이라 보고 있다. 기존 세계적 AI 기업들이 일본, 인도를 거론하며 지역별 거점 확보에 주력해온 가운데, 한국 역시 글로벌 AI 혁신 시장의 교두보로 자리매김하는 양상이다. 미국·유럽 등지에서도 자국 내 AI 플랫폼 투자와 현지화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한국은 독자적인 기술 채택 속도와 응용역량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정책적으로도 AI 관련 지원과 규제 논의가 병행되고 있다. 국내 AI 스타트업과의 협력을 본격화하는 한편, 데이터 보호·AI 윤리 등 안전장치 마련도 과제로 대두됐다. 앤트로픽은 클로드의 높은 안전성과 기능을 강조하며 정부, 학계와의 부문별 협업에도 나설 계획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한국 IT기업과 개발자들이 글로벌 AI 코드플랫폼의 핵심 플레이어로 부상하고 있다”며 “앤트로픽 현지화가 AI 혁신 사이클을 더욱 촉진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산업계는 글로벌 AI 플랫폼 경쟁 속에서 이번 투자와 협업이 한국 시장에 실질적 변화를 이끌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