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복구율 90% 돌파”…행안부, 전산망 연내 정상화 총력
정부 전산망 대규모 장애 복구율이 90%를 돌파하며, 정부가 연내 전체 정상화를 공식 목표로 복구 속도전에 돌입했다. 이번 조치는 지난 9월 말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 화재로 촉발된 유례없는 국가 전산망 중단 사태 이후, 정부 시스템 전반의 정보 접근성과 신뢰성 확보 여부를 가늠하는 분수령으로 평가받고 있다. 업계는 이번 복구 진행 상황을 “공공 IT 인프라 안전 관리와 데이터 재해복구(DR) 체계 전환점”으로 보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한 브리핑을 통해, 전산망 장애 시스템 709개 중 640개(90.3%)가 이미 정상화됐다고 밝혔다. 특히 1등급 중요 시스템의 100% 복구 등 국민 일상과 직결된 서비스는 전면 정상화가 마무리됐다. ‘국민신문고’, ‘국민비서’ 등 주요 민원·알림 서비스도 모두 운영 재개됐다. 나머지 69개 시스템은 단계적 복구가 진행 중이며, 11월 3주차까지 완전 정상화를 예고했다. 대구센터에 위치한 16개 이전 대상 시스템 중 2개는 복구 완료, 14개는 연내 복구 목표를 잡았다.

복구 작업의 핵심은 ‘데이터 안전성’과 ’업무 연속성’ 확보다. 일부 시스템(G-드라이브)의 경우 화재로 인해 일시적 데이터 소실이 발생, 외부 백업 부재가 문제로 지적됐다. 인사혁신처 등 기관별로 유일한 내부 클라우드에만 주요 자료가 보관된 탓에 일부 업무 데이터가 완전히 소실됐다. 단, 행안부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전체적으로 데이터 손실 범위가 미미하고, 보건복지부 등 일부 시스템도 64% 이상 복구가 완료됐다”고 설명했다. 현재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 핵심 보건 데이터에 대해 백업 데이터 복구 작업이 병행되고 있다.
국가 전산망 복구는 대규모 인프라와 연구·행정 시스템 연속 운영의 근간이자, 디지털 전환 가속화 시대의 필수적 기반이다. 최근 들어 재해복구 자동화 및 클라우드 백업, 보안·운영 이중화 기술 적용이 공공 부문에서 강화되고 있다. 해외 선진국의 경우 이미 이중·삼중 백업체계와 위기 대응 시나리오 내재화가 일반화됐다. 전문가들은 이번 화재가 ‘로컬 센터 집중 운영’ 한계 노출과 분산 클라우드 이전의 속도 필요성을 보여주는 충격 사례로 해석한다.
복구 비용과 관련해서는, 정부가 이미 1,521억원의 예비비를 편성했으며, 대구센터 클라우드 이전 및 추가 데이터 백업 인프라 구축을 위해 재정당국과 추가 예산 확보 협의를 진행 중이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향후 발생할 유사 사고 대비, 예산 확보와 효율적 집행을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업계 전문가들은 “전산망 복구가 시스템 정상화와 데이터 회복에 머무르지 않고, 공공 IT인프라의 구조적 혁신으로 이어질지 관건”이라고 분석한다. 산업계는 이번 경험이 국내 데이터 재난관리 표준을 새로 정립할 기점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