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카카오톡, 시간 제한 없는 위치 공유”…프라이버시 논란 속 사용자 반응 엇갈려

강민혁 기자
입력

카카오톡이 무제한으로 친구 간 위치를 공유할 수 있는 신규 서비스를 업데이트해 프라이버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번 조치로 이용자들은 동의만 있다면 별도 시간 제한 없이 서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편의성과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둘러싼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17일 뉴스1에 따르면, 카카오의 지도 서비스 ‘카카오맵’은 지난 12일부터 ‘톡 친구 위치공유’ 서비스를 ‘친구위치’로 확대 적용했다. 기존에는 카카오톡을 통해 15분·30분·1시간 등 시간 제한 내에서만 위치 공유가 가능했으나, 이번 업데이트로 사용자는 종료하지 않는 한 위치를 지속적으로 상대방과 공유할 수 있다.

카카오톡
카카오톡

다만 친구위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선 본인 동의가 필수적이며, 14세 미만 이용자는 부모 동의가 있어야 서비스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원치 않을 경우 언제든 위치 숨김 또는 공유 중지 기능을 쓸 수 있다. 익명 기반 오픈채팅이나 100명을 초과한 단체 채팅방 등에서는 기능을 쓸 수 없고, 오직 카카오톡 친구나 대화 중인 상대에 한해 이용할 수 있다는 제한도 있다.

 

이 같은 업데이트에 대해 이용자 의견은 크게 엇갈리고 있다. 한쪽에선 “자녀나 치매 노인의 위치 파악이 쉬워졌다”며 “보호자 입장에선 환영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반면 “동의하에 이뤄진다 해도 실제로는 강제될 수 있다” “회사 업무에 악용될 수 있다” “범죄로 이어질 소지가 크다” 등의 우려도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무제한 위치 공유가 보호·관리 편의성은 높이지만, 반면에 동의의 실질성, 사생활 침해 문제 등을 둘러싼 체계적인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기업 측에서도 “이용자 동의와 선택권을 우선으로 한다”는 입장이지만, 기능 도입 취지와 별개로 부작용 차단을 위한 보다 촘촘한 개인정보 보호 장치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카카오의 무제한 위치공유 서비스가 시장에 안착할지, 혹은 프라이버시 이슈를 두고 추가적 사회적 논의와 제도 개선이 뒤따를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강민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카카오톡#위치공유#프라이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