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9 자주포 포성 다시 울려”…해병대, 서북도서 해상사격훈련 3개월 만에 재개
남북 군사적 긴장감이 다시 조성된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서북도서에서 해병대가 해상사격훈련을 실시했다. 남북 군사합의 효력정지 이후 이어진 이러한 훈련에 대해 정치권과 군 내부에서도 논쟁이 재점화됐다.
서북도서방위사령부는 24일 백령도와 연평도 등 서북도서에 배치된 6여단 및 연평부대가 K9 자주포 등 지급된 화기를 동원해 170여발의 해상사격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은 지난 6월 25일 이후 약 3개월 만이자, 올해 3번째 사격훈련이다.

서북도서 해상사격훈련은 2018년 체결된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장기간 중단됐었다가, 작년 6월 북한의 대남 풍선 살포 등 도발에 윤석열 정부가 9·19 합의 전면 효력정지를 결정하면서 재개된 바 있다. 군 당국은 “(9·19 군사합의가 금지했던) 남북 접경지 사격훈련 중단에 관한 상부 지침이 없어 오늘 훈련도 계획대로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8월 15일 9·19 군사합의의 단계적 복원을 언급한 이후, 훈련 중단 여부를 둘러싸고 정치권 내 견해차가 드러났다. 여권은 “북한이 대남 도발을 멈추지 않는 상황에서 군사훈련 중단은 시기상조”라는 입장인 반면, 일부 야권은 군사적 긴장 완화 차원에서 훈련 재조정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치 전문가들은 남북 군사합의 복원과 서북도서 훈련 문제를 둘러싼 정부·야당 간 대립이 남북관계 변화의 주요 변수가 될 것이라고 분석한다. 실제 서해 접경지역의 안보 태세 유지와 남북 교류 재개 사이에서 정부의 전략적 선택이 주목된다는 평가다.
국방부는 당분간 계획된 훈련을 예정대로 실시할 방침이다. 북한의 도발이 지속될 경우 향후 남북관계 기류에 따라 군사훈련 일정 및 강도가 추가 조정될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