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80주년 앞두고 현충시설 총점검”…국가보훈부, 전국 1001곳 실태조사 나선다
현충시설 관리 실태를 둘러싼 논쟁이 재점화됐다. 국가보훈부가 광복 80주년을 맞아 전국 독립운동 현충시설 1001곳에 대한 대대적 실태점검에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시설 노후화와 안전 문제를 둘러싼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시설 외관을 비롯해 안내판·주변환경 등 종합적 검증 작업이 광복절 전까지 이뤄진다.
보훈부는 이날 “전국 27개 보훈관서 공무원들이 현장을 직접 찾아 상태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50년 이상 된 노후 시설 491곳에 대해서는 안전진단과 별도 집중관리를 확대한다. 시설의 안내판 개선과 온라인 신고 활성화 및 관리 우수사례 포상을 함께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온라인 현충시설 신고 서비스도 개편된다. 기존 ‘관리실태 신고’ 시스템이 ‘국민의견’ 창구로 전환돼, 다음 달부터 개보수가 필요한 시설 신고가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보훈부 관계자는 “현충시설의 실질적 보존·관리 강화를 위해 국민 참여 플랫폼 확장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국외 독립운동 사적지 관리 역시 강화됐다. 올해 국가보훈부는 외교부, 재외동포청, 독립기념관 등과 긴밀하게 협력해 세계 24개국 1032곳의 독립운동 사적지 보존에 나서고 있다. 특히 중국 내 여순일본관동법원구지박물관, 항저우 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진강 대한민국임시정부사료진열관 등 3곳에는 포스코인터내셔널과 협업해 고해상도 컬러 강판으로 된 안내판을 새로 설치했다고 전했다. 몽골 이태준기념관 등에도 추가 안내판 설치가 예고됐다.
이 같은 조치에 대해 전문가는 “노후 역사시설 관리의 사회적 요구가 높아진 현실을 반영한 행보”라고 진단했다. 다만 각 지역 현충시설 기초 인프라 개선과 예산 확보 등 후속 대책에 대한 정책적 관심도 요구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정부는 광복절을 계기로 현충시설에 대한 전반적 점검을 마무리할 예정이며, 국민 의견을 수렴해 지속적인 관리·보완에 힘쓸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