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 보존·지방 감소 효과 입증”…나이벡, GLP-1 한계 극복 신약 전임상 발표
펩타이드 신약 개발사 나이벡이 21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제20회 펩타이드 치료학 심포지엄’에서 복합 대사질환 신약 후보 ‘리제노타이드(NP-201, NIPEP-AOP)’의 전임상 결과를 공개하면서, 글로벌 항비만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 GLP-1 계열 치료제의 근육 손실 부작용을 극복한 것으로 나타나 국내외 제약업계의 관심을 모은다.
나이벡 발표에 따르면, 리제노타이드는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지방 축적을 60% 이상 억제하고, 근섬유 단면적을 2배로 확대했다. 또, 간 섬유화 지표(α-SMA)를 50% 이상 감소시키며 체중 감량과 근육량 유지, 간 건강 개선이라는 다양한 치료 성과를 동시에 증명한 것으로 집계됐다. GLP-1 계열 주사제는 체중 감량 효과 탓에 근육 손실이 함께 발생한다는 점이 약점으로 꼽혀왔지만, 리제노타이드는 체중 감량 효율은 유사하면서도 근육 보존 효과가 약 1.5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 섬유화 억제력 역시 GLP-1 대비 50% 이상 뛰어났다.

이번 연구에선 리제노타이드의 지방세포 분화 유전자 발현도 대조군 대비 40~60% 억제된 것으로 확인됐다. 나이벡은 리제노타이드가 근육 내 MyoD1 단백질과 Pax7 발현을 증가시켜 근육 재생을 유도한다고 설명했다. 이미 임상 1상을 완료해 인체 안전성을 확보한 상태다. 나이벡은 올해 상반기 폐섬유증 관련 권리를 해외에 기술이전한 데 이어, 비만·MASH(대사연관지방간염) 등 적응증은 단독 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집계에 따르면 글로벌 GLP-1 기반 항비만제 시장은 2032년 180조 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MASH와 근감소증 치료제 시장도 각각 수십 조 원대로 성장할 전망이다. 업계에선 리제노타이드가 체중 감량에서 그치지 않고 근육 보존과 간 섬유화 개선까지 아울러 잡은 차세대 복합 대사질환 신약으로, 관련 시장 패러다임 변화도 기대한다.
정종평 나이벡 대표는 “리제노타이드는 지방 감소뿐 아니라 근육 보존, 간섬유화 개선을 동시에 실현한 신약으로 대사질환 치료의 새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며 “글로벌 시장에서 범용성을 입증해 후속 개발도 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향후 글로벌 항비만제 시장의 급성장과 맞물려, 리제노타이드와 같은 복합 대사질환 치료제의 상용화 진척 여부에 업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