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수능장에 감독관 2만명 투입”…철저 관리로 공정성 강화
서울교육청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 약 2만명의 시험감독관 등 관계요원을 투입해 관리 체계를 강화한다. 응시생 규모와 시험장 운영, 장애 수험생 지원, 공정성 확보를 위한 다각적 대책이 마련된 것으로 확인됐다.
27일 서울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서울 지역 수능 응시원서 접수 인원은 총 11만4,158명이다. 이 중 재학생은 6만3,283명(55.4%), 졸업생은 4만6,679명(40.9%), 검정고시 등 기타는 4,196명(3.7%)으로 집계됐다.

수능은 서울 11개 시험지구, 228개 시험장에서 4,332개 시험실이 마련돼 치러진다. 경증·중증 시각, 중증 청각, 뇌병변 등 운동장애 수험생을 위한 시험편의 제공 시험장은 4개교에서, 남부교도소 내에도 별도 시험실이 운영된다. 시험실 감독관을 포함한 시험 관계요원은 총 1만9,793명에 달한다.
수험생 안내를 위해 동영상과 자료는 서울교육청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며, 예비소집일엔 ‘수험생 유의사항’ 유인물이 지급된다. 부정행위 방지를 위해 감독관 대상 교육도 사전에 거듭 실시된다.
서울교육청은 “방송 및 시험장 시설 점검을 강화하고, 관계 기관과의 협조 체계를 구축해 공정하고 안정적인 수능 시행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정근식 교육감은 “모든 수험생이 흘린 땀과 노력이 결실로 이어지기를 바라며, 수험생 유의사항을 반드시 확인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한 “공정하고 안정적인 시험 환경 조성을 위해 관계 기관과 유기적으로 협력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예비소집일과 수능 당일에는 시험장 출입 통제, 휴대전화 등 반입 금지 등 규정 준수 여부에 대해 관계기관이 집중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다. 학부모, 수험생, 학원가 등 각계에서도 수능의 공정성 확보 필요성과 안전관리 강화 요구의 목소리가 지속되고 있다.
수능 시행과 관련해 수험생 권익 보호와 부정행위 예방, 현장 혼선 최소화를 위한 제도 개선 논의는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