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코로나 계열 범용 백신 임상 본격화”…SK바이오사이언스, 글로벌 임상 돌입

조수빈 기자
입력

SK바이오사이언스가 코로나19를 포함한 다양한 코로나 바이러스 계열에 대응하는 차세대 범용 백신의 글로벌 임상에 돌입했다. 15일 SK바이오사이언스는 사베코바이러스 계열을 표적으로 한 백신 후보물질 ‘GBP511’의 임상 1·2상 시험계획을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HREC)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임상 착수가 미래 전염병 위기 대응과 국내 백신 산업의 수출 확대에 중요한 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GBP511의 임상은 호주 내 18세 이상 건강한 성인 약 500명을 대상으로 2028년까지 진행되며, 백신의 안전성과 폭넓은 교차 면역반응을 확인하는 것이 목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자체 합성항원 플랫폼과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더해, 미국 워싱턴대학의 나노입자 항원 디자인을 도입해 후보물질을 개발했다. 프로젝트는 2021년부터 국제기구 CEPI의 약 6,500만 달러(900억 원)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는 점에서 글로벌 협업의 대표 사례로 꼽힌다.

출처=SK바이오사이언스
출처=SK바이오사이언스

업계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이후 각종 변이와 신종 바이러스를 아우르는 사베코바이러스에 대응하는 범용 백신의 필요성이 커졌다”며 “국내 업체가 임상 선점에 성공하면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에도 유리하다”고 평가한다. 실제로 세계보건기구(WHO)는 다양한 사베코바이러스에 대응할 수 있는 백신 개발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이번 SK바이오사이언스의 임상 진입은 다국적 제약사 대비 빠르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도 차세대 백신 연구개발(R&D) 및 해외 임상 지원 예산 확대를 추진 중이다. 업계는 해당 백신의 성공 여부가 향후 국내 바이오산업 수출 다변화, 방역 역량 강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의 안재용 사장은 “GBP511은 특정 변이가 아닌 여러 바이러스 계열 전반을 예방하는 차기 팬데믹 대응 백신”이라며 글로벌 협력과 상용화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WHO 등 국제기구와 선제적 협업을 통해 실제 공급까지 이어질지 주목된다.

 

향후 글로벌 임상 진행 상황과 백신 개발 성공 여부가 국내외 감염병 대응 및 바이오산업 경쟁력을 좌우할 전망이다.

조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sk바이오사이언스#gbp511#사베코바이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