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외국인 보유 시총 1,125조원 돌파”…코스피, 반도체 강세·정책 기대에 비중 34.71%로 확대

신유리 기자
입력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의 보유 시가총액이 사상 처음 1,125조 원을 넘어서며, 보유 비중도 34.71%까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반도체 대형주에 대한 외국인 매수세가 지속되고 정부의 자본시장 친화정책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국내 증시의 외국인 참여도가 크게 높아졌다.

 

26일 연합인포맥스 집계에 따르면, 24일 기준 코스피 전체 시가총액은 3,243조 원을 기록했다. 이 중 외국인 투자자가 보유한 시가총액은 1,125조 원에 달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4.71%에 이르렀다. 지난해 연말 632조 원(보유 비중 32.21%)과 비교하면 약 10개월 만에 5배 가까이 외국인 보유 규모가 확대됐다.

‘코스피’ 외국인 보유 시가총액 1,125조원 돌파…비중 34.71%로 확대
‘코스피’ 외국인 보유 시가총액 1,125조원 돌파…비중 34.71%로 확대

특히 10월 한 달 동안 외국인 보유 시가총액만 425조 원이 증가하며 코스피가 연일 최고가를 기록하는 흐름에 힘을 보탰다. 반도체 업종 내 대형주에 매수세가 집중되면서, 삼성전자의 외국인 보유 시가총액은 305조 원(보유 비중 52.22%), SK하이닉스는 204조 원(54.99%)에 달했다.

 

증권업계에서는 이번 매수세 확대의 배경에 글로벌 유동성 확대와 반도체 업황 회복, 정부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김영일 대신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한국 증시의 밸류에이션이 저평가된 상황에서 자본시장 선진화법 추진과 시행이 맞물리며 외국인 투자자에 밸류 매력이 부각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AI 산업 성장과 국내 반도체 기업 수혜 기대, 정부의 투자 정책 강화가 외국인 투자자 유입을 자극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성훈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국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과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사이클, 달러 약세 흐름은 신흥국 증시의 매력도를 높였다”며 “AI 모멘텀과 메모리 반도체 가격 상승, 증시 부양책 기대 등 복합 호재가 외국인 자금 유입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동원 KB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저달러+저유가’ 등 소위 ‘3저 호황’이 40년 만에 재현되고 있다”며 “최근의 달러 강세는 단기 현상에 불과하고, 미국 금융 억압 정책이 본격화되면 장기적으로 저달러·저금리 기조가 확산될 소지가 있다”고 전망했다.

 

증권가는 외국인 매수세의 지속 여부, 반도체 업황 전개, 정부 정책 방향 등의 변수를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투자자들은 대형주와 정책 수혜 업종의 동향을 주시하며 시장 변동성에도 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정책과 반도체 업황, 글로벌 투자 환경 변화가 외국인 자금 흐름에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신유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외국인투자자#코스피#반도체대형주